"병원 수치랑 다르네" 가정용 혈당 측정기, 쓸 필요 없는 걸까?

입력 2025.03.30 22:02
혈당 측정하는 장면
클립아트코리아
집에서 잰 혈당 수치와 병원에서 검사한 혈당 수치가 다를 때가 있다. 무엇을 기준으로 삼고 관리해야 할까?

가정에서 잰 혈당과 병원에서 잰 혈당은 다를 수밖에 없다. 보통 병원에서는 팔꿈치 안쪽에서 정맥혈을 뽑아 혈당을 측정한다. 평균 혈당 수치를 반영하는 혈액검사인 당화혈색소 검사를 하는데, 이때 채혈하는 김에 혈당 검사를 실시하는 경우가 흔해서 정맥혈을 사용하는 것이다.

매일 매순간 변하는 혈당을 재기 위해 정맥에서 채혈하기는 어렵다. 가정에서는 환자 스스로 쉽게 혈당을 알 수 있도록 손가락 끝 모세혈관에서 혈액을 얻는 자가 혈당 측정을 하게 된다. 모세혈관에서 뽑은 혈액은 일반적으로 정맥혈보다 혈당이 높게 측정되는 경향이 있다.

혈당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전반적인 변화 추이’다. 식사와 운동 등에 따른 자신의 혈당 패턴을 익히기 위해서는 반드시 자가 혈당 측정을 해야 한다. 자가 혈당 측정을 잘 할수록 혈당이 잘 관리된다는 통계도 있다.

평소에 집에서 잰 혈당을 기준으로 관리하되, 오랜 기간 동안 혈당을 얼마나 잘 관리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병원에 정기적으로 찾아가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면 가장 좋다.

병원 검사 때는 집에서 쓰던 자가 혈당 측정기를 한 번 들고 가보자. 병원에서 채혈하기 전이나 후에 자가 혈당 측정기로도 혈당을 재고 수치를 기억해뒀다가, 병원 검사 결과가 나왔을 때 두 수치를 비교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차이가 어느 정도인지 파악해두면 좋다.
의료계 뉴스 헬스케어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