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 치료' 후 심한 피부염 겪는 유방암 환자… 해결법 찾았다

입력 2025.02.26 08:00

중앙대병원 연구팀, 방사선 피부염 완화 위한 국소 크림의 유효성 분석
AdP 함유 크림 도포한 유방암 환자, 피부염 억제 및 색소침착 감소

등이 붉어진 모습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음.) 증앙대병원 연구팀이 유방암 방사선 치료 후 발생하는 방사선 피부염 완화를 위한 새로운 국소 크림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분석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방사선 치료를 하는 유방암 환자는 방사선으로 인한 심각한 피부염 부작용을 자주 경험한다. 그런데 최근 인체에 존재하는 단백질(AIMP1)로부터 유래한 펩타이드를 함유한 국소 크림이 이러한 방사선 피부염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앙대병원 피부과 박귀영 교수, 방사선종양학과 최진화 교수와 중앙대광명병원 피부과 한혜성 교수 연구팀은 유방암 방사선 치료 후 발생하는 방사선 피부염 완화를 위한 새로운 국소 크림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체내 세포 신호조절 단백질인 ‘AIMP1’ 유래 펩타이드를 함유한 크림의 ‘방사선 피부염’을 완화하는 효과를 평가했다.

연구팀은 방사선 치료를 받은 유방암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8주 동안 환자의 방사선 노출 부위 중 오른쪽에는 AdP 함유 크림을 바르고, 왼쪽에는 동일한 크림이지만 AdP를 포함하지 않은 대조 크림을 도포했다.

그 결과, AdP 함유 크림을 바른 부위에서 방사선 피부염의 진행이 억제됐으며, 피부 변화가 완화됐다. 또한, 피부 장벽 보호 효과와 함께 수분 손실 감소 및 색소침착 완화 효과도 확인됐다. 부작용 또한 관찰되지 않아 AdP 함유 크림이 방사선 피부염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인 것이 입증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방사선 피부염은 방사선 노출량에 따라 전체 방사선 치료 환자의 50~95%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유방암 환자의 경우 90% 이상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된다.

방사선 피부염은 피부 색소침착을 유발해 환자의 삶의 질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치료 과정에서도 불편을 초래하며, 심한 경우 감염이나 패혈증과 같은 합병증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중앙대병원 피부과 박귀영 교수는 "AIMP1 유래 펩타이드(AdP)가 항염 및 피부 재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번 연구를 통해 방사선 피부염 완화 및 피부 보호 효과가 입증됐다"며 "이 연구 결과는 향후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게 방사선 피부염을 예방하고 완화할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피부 보호 방법을 제시하는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암 지원 치료(Supportive Care in Cancer)'에 최근 게재됐다.
의료계 뉴스 헬스케어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