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레르기 비염 환자가 ‘하비갑개 수술’을 받으면 그 효과가 어느 정도 지속될까. 시행 후 1년이 지나도 효과가 유지됐으며, 중대한 합병증은 없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코막힘과 콧물 등 비염의 주요 증상은 수술 후 3년 이상이 지나도 개선된 상태가 유지됐다.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알레르기 비염 환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한다. 하비갑개 수술은 코막힘의 주요 원인인 하비갑개 비대증을 줄여주는 수술 방법으로 대표적인 비염 치료법으로 꼽힌다. 그러나 하비갑개 수술의 장기적인 결과에 관해 연구된 바는 많지 않았다.
한림대강남성심병원 이비인후과 박상철 교수·한림대춘천성심병원 이비인후과 김동규 교수·고려대 근거중심의학연구소 김현정 교수 등 공동 연구팀은 하비갑개 수술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체계적인 문헌 고찰과 메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팀은 논문 18편에 활용된 1411명 환자 데이터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하비갑개 수술 후 코막힘·콧물·재채기·가려움증과 같은 주관적 증상과 함께 총 비강 용적·비강 저항과 같은 객관적 지표도 유의하게 호전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효과는 수술 후 1년 이상 유지됐다. 일부 추적 관찰 데이터에서는 개선된 상태가 3년 이상 유지되기도 했다.
수술 전과 비교했을 때, 수술 1년 후 증상 점수의 ‘가중 평균 차이’는 코막힘 4.60, 콧물 3.12, 재채기 2.64, 비강 저항 0.16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전체 비강 용적은 유의하게 증가해 비염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3년 이상 추적관찰 했을 때에도 코막힘(5.18), 콧물(3.57), 재채기(2.95) 증상의 개선 효과가 유지됐으며 중대한 합병증은 없었다.
연구의 저자 박상철 교수는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객관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알레르기 비염 환자들의 예후 개선을 위해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JAMA Otolaryngol에 게재됐다.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알레르기 비염 환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한다. 하비갑개 수술은 코막힘의 주요 원인인 하비갑개 비대증을 줄여주는 수술 방법으로 대표적인 비염 치료법으로 꼽힌다. 그러나 하비갑개 수술의 장기적인 결과에 관해 연구된 바는 많지 않았다.
한림대강남성심병원 이비인후과 박상철 교수·한림대춘천성심병원 이비인후과 김동규 교수·고려대 근거중심의학연구소 김현정 교수 등 공동 연구팀은 하비갑개 수술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체계적인 문헌 고찰과 메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팀은 논문 18편에 활용된 1411명 환자 데이터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하비갑개 수술 후 코막힘·콧물·재채기·가려움증과 같은 주관적 증상과 함께 총 비강 용적·비강 저항과 같은 객관적 지표도 유의하게 호전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효과는 수술 후 1년 이상 유지됐다. 일부 추적 관찰 데이터에서는 개선된 상태가 3년 이상 유지되기도 했다.
수술 전과 비교했을 때, 수술 1년 후 증상 점수의 ‘가중 평균 차이’는 코막힘 4.60, 콧물 3.12, 재채기 2.64, 비강 저항 0.16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전체 비강 용적은 유의하게 증가해 비염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3년 이상 추적관찰 했을 때에도 코막힘(5.18), 콧물(3.57), 재채기(2.95) 증상의 개선 효과가 유지됐으며 중대한 합병증은 없었다.
연구의 저자 박상철 교수는 “알레르기 비염 환자의 치료 방법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객관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알레르기 비염 환자들의 예후 개선을 위해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JAMA Otolaryngol에 게재됐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