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4일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전직 미 항공우주국(NASA) 엔지니어인 마크 로버(44)는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가장 무거운 실험'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게재했다. 영상에서 그는 실험을 진행했는데, 물통 두 개에 물을 담고 권장 농도 4배에 해당하는 염소를 넣었다. 그다음 한 통에만 오줌을 한 방울 넣고, 뚜껑을 덮은 후 24시간 동안 뒀다. 하루가 지난 후 뚜껑을 열어 냄새를 맡았을 때, 오줌을 넣지 않은 통에서는 아무 냄새가 나지 않았지만, 오줌을 조금 넣은 물통에서는 수영장 냄새가 났다. 그는 "두 물통의 유일한 차이점은 오줌이 조금 섞여 있다는 것뿐인데 오줌이 조금 있는 물통에서는 수영장 냄새가 났다"며 "수영장에서 나는 냄새는 그냥 오줌 냄새인 것이다"라고 했다. 정말 수영장에서 나는 냄새는 오줌 때문인 것일까?

수영장에서 나는 냄새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서는 최대한 땀이나 오줌을 수영장 물에 섞이지 않게 해야 한다. 수영장에 들어가기 전 샤워를 해 땀을 씻어내자. 또 수영 중 오줌이 마려울 때는 반드시 화장실을 이용해야 한다.
한편, 수영장 물에 함유된 염소가 땀, 오줌 등과 만나면 건강에도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염소는 질소가 포함된 성분과 결합하려는 특징이 있는데 사람의 오줌 속에는 요소, 아미노산, 크레아틴 등 질소 화합물이 많다. 염소가 이러한 질소 화합물들과 만나면 염화시안, 삼염화아민과 같은 '소독부산물'을 만들어낸다. 염화시안은 벌레 약, 독가스 등에 쓰이고 삼염화아민은 급성 폐질환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 염소 소독제가 오줌 등 배설물의 질소와 결합하면 눈 따끔거림과 시림, 피부 가려움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