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때때로 반려인은 반려동물과 감정을 교류한다고 느낀다. 기뻐할 때는 꼬리를 치며 다가오고 슬플 때는 공감의 눈빛을 보내주는 것 같다. 최근, 반려견이 주인의 감정 상태를 파악해 이에 맞는 행동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브리스톨대 연구팀이 반려인 18명과 반려견 18마리를 분석했다. 실험에 참여한 반려견은 좋은 상황과 나쁜 상황의 차이를 인지할 수 있는 간식 훈련을 받았다. 연구팀은 간식을 담은 그릇을 배치한 뒤 개가 간식을 찾아내면 빈 그릇을 다른 위치에 배치했다. 개들은 이 과정을 반복하자 그릇 위치별 간식 유무를 파악했다. 연구팀은 개가 얼마나 빠르게 간식 그릇에 접근하는지를 토대로 개의 감정과 태도를 평가했다. 간식 그릇을 빠르게 확인하는 것은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태도로, 그릇을 확인하지 않는 것은 반대의 상황을 의미한다.
간식 훈련을 받은 개들은 사람에게서 채취한 땀과 호흡 샘플에 노출됐다. 이는 참여자들이 휴식을 취하거나 산수 시험을 보는 등의 상황에서 수집됐으며 후자의 경우가 스트레스 상황을 의미한다.
그 결과, 스트레스를 받은 사람의 냄새를 맡은 개는 편안한 사람의 냄새를 맡은 개보다 간식 그릇을 덜 확인했다. 스트레스 냄새에 노출된 개들은 그릇 위치에 관계없이 간식 그릇을 찾는 횟수가 현저히 적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감정 전염’이라는 현상으로 설명했다. 감정 전염은 개가 주인의 감정 상태를 파악해 그 감정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맞춰가는 것을 말한다. 연구를 주도한 조 파-코르테스 박사는 “개는 자신의 집단 구성원이 인식한 위협을 스스로에 대한 위협으로 인지해 두려움을 비롯한 사람의 감정을 인지하고 이에 맞춰 대응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Scientific Reports’에 최근 게재됐다.
영국 브리스톨대 연구팀이 반려인 18명과 반려견 18마리를 분석했다. 실험에 참여한 반려견은 좋은 상황과 나쁜 상황의 차이를 인지할 수 있는 간식 훈련을 받았다. 연구팀은 간식을 담은 그릇을 배치한 뒤 개가 간식을 찾아내면 빈 그릇을 다른 위치에 배치했다. 개들은 이 과정을 반복하자 그릇 위치별 간식 유무를 파악했다. 연구팀은 개가 얼마나 빠르게 간식 그릇에 접근하는지를 토대로 개의 감정과 태도를 평가했다. 간식 그릇을 빠르게 확인하는 것은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태도로, 그릇을 확인하지 않는 것은 반대의 상황을 의미한다.
간식 훈련을 받은 개들은 사람에게서 채취한 땀과 호흡 샘플에 노출됐다. 이는 참여자들이 휴식을 취하거나 산수 시험을 보는 등의 상황에서 수집됐으며 후자의 경우가 스트레스 상황을 의미한다.
그 결과, 스트레스를 받은 사람의 냄새를 맡은 개는 편안한 사람의 냄새를 맡은 개보다 간식 그릇을 덜 확인했다. 스트레스 냄새에 노출된 개들은 그릇 위치에 관계없이 간식 그릇을 찾는 횟수가 현저히 적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감정 전염’이라는 현상으로 설명했다. 감정 전염은 개가 주인의 감정 상태를 파악해 그 감정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맞춰가는 것을 말한다. 연구를 주도한 조 파-코르테스 박사는 “개는 자신의 집단 구성원이 인식한 위협을 스스로에 대한 위협으로 인지해 두려움을 비롯한 사람의 감정을 인지하고 이에 맞춰 대응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 결과는 ‘Scientific Reports’에 최근 게재됐다.
占쎌꼶利뷸�⑨옙 占쎈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