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막히는 환절기… ‘이렇게’ 풀다간 고막 망가져

입력 2024.03.26 05:00
코 푸는 사람
두 콧구멍을 한꺼번에 풀면 고막천공이 생길 위험이 커진다. 코는 한쪽씩 번갈아가며 푸는 게 좋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환절기엔 감기나 비염 등으로 코가 막힌다. 꽉 막힌 코를 있는 힘껏, 자주 풀다가 자칫 중이염이나 고막 천공이 생길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코와 귀는 이어져 있다. 이관(유스타키오관)이 콧속 빈 공간인 비강과 귀의 중이를 연결한다. 이관은 평소에 닫혀 있다가 하품을 하거나 침을 삼킬 때 순간적으로 열린다. 이때 중이가 환기되며 안에 있던 노폐물이 코로 배출되기도 한다.

코가 꽉 막힌 상태에서 코를 풀면 비강 압력이 높아진다. 그러면 의도치 않게 이관이 열려 비강에 있던 염증성 물질들이 강한 압력으로 인해 중이로 역류할 수 있다. 심한 경우 중이염을 유발하기도 한다. 중이염은 중이가 감염돼 급성 염증이 발생한 상태로, 귀 통증, 두통, 청력 저하 등 다양한 증상을 동반한다. 이관이 아직 제대로 발달하지 않아 굵고 짧은 어린아이들은 중이염에 특히 취약하므로 조심해야 한다.

고막이 손상될 위험도 있다. 고막은 외이와 중이의 경계에 있는 기관으로, 외이도를 통해 전달된 음파를 진동·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막힌 코를 풀면 이관이 열리며 고막이 갑작스러운 압력차를 겪게 되고, 귀가 먹먹해질 수 있다. 코를 연거푸 세게 풀면 고막이 파열되는 고막천공이 생길 위험도 있다. 고막천공은 이 밖에도 ▲귀이개, 면봉 등으로 귀를 후빌 때 ▲귀에 강한 타격이 가해졌을 때 ▲폭발음을 들었을 때 ▲기타 이유로 외이도에 갑작스러운 기압 변화가 생겼을 때 발생한다.

코를 풀 때 중이염과 고막천공이 발생할 위험을 줄이려면, 한쪽씩 번갈아가며 푸는 게 좋다. 양쪽 코에 동시에 힘을 줘서 풀면 비강 압력이 더 크게 상승해서다. 한 번에 다 풀려고 하지 말고, 2~3회씩 나눠 푸는 것도 도움이 된다.

코가 아예 막혔다면 자기 전에 따뜻하게 데운 수건 등을 코에 5분 정도 얹어두는 게 도움될 수 있다. 콧속이 촉촉해지며 콧물이 더 쉽게 나온다. 또 아침 기상 직후 가볍게 스트레칭하면 체온이 올라가며 코 풀기가 더 수월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