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 근처에 숲이나 공원을 조성했더니 미세먼지 농도가 낮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산업단지 인근에 위치한 주거단지의 경우 그 사이에 숲을 만들면 확실히 미세먼지가 집으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시 숲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보여줬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지난해 미세먼지 계절 시기(2021년 12월부터 2022년 3월)에 인천시 석남동 산업단지와 주거단지 사이에 위치한 차단숲의 미세먼지 저감효과를 분석한 결과, 총 121일 중에 84일(70%) 동안 주거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가 산업단지보다 유의미하게 낮아진 것을 확인했다.
미세먼지 농도는 주거지역이 산업단지보다 39.77% 낮았고, 초미세먼지 농도는 주거지역이 산업단지보다 41.8% 정도 낮았다.
다만 주거지역과 산업단지의 평균 풍속차가 비슷할 때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높았다. 주거지역이 산업단지보다 풍속이 낮을 때는 주거단지의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산림과학원 박찬열 연구관은 “미세먼지 계절제 기간 중 상당기간 동안 숲에서 미세먼지 저감효과를 확인하였지만, 풍속이 높을 때는 미세먼지가 잘 확산·배출되는 반면, 풍속이 낮은 대기 정체 시 상대적으로 숲의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낮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도시 외곽숲의 찬바람을 도심으로 끌어들여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을 확산·배출하고, 폭염 저감과 탄소 흡수 등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도시 숲의 구조를 개선해 숲의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지난해 미세먼지 계절 시기(2021년 12월부터 2022년 3월)에 인천시 석남동 산업단지와 주거단지 사이에 위치한 차단숲의 미세먼지 저감효과를 분석한 결과, 총 121일 중에 84일(70%) 동안 주거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가 산업단지보다 유의미하게 낮아진 것을 확인했다.
미세먼지 농도는 주거지역이 산업단지보다 39.77% 낮았고, 초미세먼지 농도는 주거지역이 산업단지보다 41.8% 정도 낮았다.
다만 주거지역과 산업단지의 평균 풍속차가 비슷할 때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높았다. 주거지역이 산업단지보다 풍속이 낮을 때는 주거단지의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산림과학원 박찬열 연구관은 “미세먼지 계절제 기간 중 상당기간 동안 숲에서 미세먼지 저감효과를 확인하였지만, 풍속이 높을 때는 미세먼지가 잘 확산·배출되는 반면, 풍속이 낮은 대기 정체 시 상대적으로 숲의 미세먼지 저감 효과가 낮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도시 외곽숲의 찬바람을 도심으로 끌어들여 미세먼지를 포함한 대기오염물질을 확산·배출하고, 폭염 저감과 탄소 흡수 등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도시 숲의 구조를 개선해 숲의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