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기증(어지럼증) 혹은 불균형 증상이 전체 뇌경색의 20%를 차지하는 후순환계(머리 뒷부분 양쪽 척추동맥, 기저동맥 뇌혈관) 뇌경색의 전조증상이 될 수 있으며, 악화 증상으로는 1~3일 이내 의식저하, 편마비, 언어장애 등이 나타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아주대병원 뇌졸중팀(신경과 홍지만·이진수·이성준·김민 교수)은 뇌졸중의 전조 증상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4년간 발병 4.5시간 이내 응급실에 내원한 후순환계 뇌졸중 환자 228명을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228명 중 77명(33.8%)에게서 현기증 혹은 불균형 증상이 나타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중 23명(30%)이 이후 의식저하, 편마비, 언어장애 등 신경학적 중증 증상을 겪어 응급실로 내원했다. 23명 중 18명(78%)이 1일 이내, 총 20명(87%)이 3일 이내 응급실로 내원했다.
연구팀은 환자들을 ▲현기증과 불균형이 주요 증상 ▲의식저하, 편마비, 언어장애 등 중증 신경학적 증상 동반 ▲재관류치료 프로토콜 중증도에 따라 3개 그룹으로 나눠 분석했다. 그랬더니 신경학적 중증 증상 없이 내원한 경우 어지럼, 불균형 증상 여부와 치료 예후는 관련성이 없었다. 오히려 말이 어눌해지는 구음장애가 있을 때 치료 예후가 좋지 않았다.
중증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한 뇌경색 환자는 정맥내 혈전 용해술(증상 발생 4.5시간 이내 병원 방문 시 가능)과 기계적 혈전 제거술(증상 발생 8시간 이내, 8~24시간 병원 방문 시 선택적 시행 가능) 등으로 신속히 막힌 혈관을 뚫어야 신체적 장애를 남기지 않거나 생명을 구할 수 있다.
전순환계 뇌경색 환자들은 편마비나 언어장애 등 명확한 증상으로 내원한다. 그러나 후순환계 뇌경색 환자는 어지럼증, 균형 장애, 복시 등 다양한 증상을 보여 신속한 재관류 치료를 적용하는 게 어려웠다.
연구의 교신 저자인 이성준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중증 후순환계 뇌졸중과 응급실을 내원하는 흔한 증상인 현기증과 불균형 증상 간의 시간적 연관성과 발생 빈도를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제 1저자인 김민 교수는 “특히 어지럼증 발생 이후 1~3일 이내 의식저하, 편마비, 언어장애 등 중증 증상이 새로 생기면 약 60%에서 재관류 치료가 필요했다”며 “이런 증상을 겪는다면 즉시 재관류 치료가 가능한 큰 병원으로 가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5월 국제 학술지 ‘Frontiers in neurology’에 최근 게재됐다.
아주대병원 뇌졸중팀(신경과 홍지만·이진수·이성준·김민 교수)은 뇌졸중의 전조 증상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4년간 발병 4.5시간 이내 응급실에 내원한 후순환계 뇌졸중 환자 228명을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228명 중 77명(33.8%)에게서 현기증 혹은 불균형 증상이 나타난 것으로 밝혀졌다. 이 중 23명(30%)이 이후 의식저하, 편마비, 언어장애 등 신경학적 중증 증상을 겪어 응급실로 내원했다. 23명 중 18명(78%)이 1일 이내, 총 20명(87%)이 3일 이내 응급실로 내원했다.
연구팀은 환자들을 ▲현기증과 불균형이 주요 증상 ▲의식저하, 편마비, 언어장애 등 중증 신경학적 증상 동반 ▲재관류치료 프로토콜 중증도에 따라 3개 그룹으로 나눠 분석했다. 그랬더니 신경학적 중증 증상 없이 내원한 경우 어지럼, 불균형 증상 여부와 치료 예후는 관련성이 없었다. 오히려 말이 어눌해지는 구음장애가 있을 때 치료 예후가 좋지 않았다.
중증 신경학적 증상을 동반한 뇌경색 환자는 정맥내 혈전 용해술(증상 발생 4.5시간 이내 병원 방문 시 가능)과 기계적 혈전 제거술(증상 발생 8시간 이내, 8~24시간 병원 방문 시 선택적 시행 가능) 등으로 신속히 막힌 혈관을 뚫어야 신체적 장애를 남기지 않거나 생명을 구할 수 있다.
전순환계 뇌경색 환자들은 편마비나 언어장애 등 명확한 증상으로 내원한다. 그러나 후순환계 뇌경색 환자는 어지럼증, 균형 장애, 복시 등 다양한 증상을 보여 신속한 재관류 치료를 적용하는 게 어려웠다.
연구의 교신 저자인 이성준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중증 후순환계 뇌졸중과 응급실을 내원하는 흔한 증상인 현기증과 불균형 증상 간의 시간적 연관성과 발생 빈도를 확인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제 1저자인 김민 교수는 “특히 어지럼증 발생 이후 1~3일 이내 의식저하, 편마비, 언어장애 등 중증 증상이 새로 생기면 약 60%에서 재관류 치료가 필요했다”며 “이런 증상을 겪는다면 즉시 재관류 치료가 가능한 큰 병원으로 가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5월 국제 학술지 ‘Frontiers in neurology’에 최근 게재됐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