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트가 스트레스와 우울감을 큰 폭으로 줄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8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건국대 글로컬 캠퍼스 김주영 교수팀이 20∼50대 건강한 남녀 150명(남녀 각각 7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홈트 프로그램을 4주간 수행했다. 그 결과, 스트레스와 우울은 줄고 자기 효능감은 증가했다.
이 연구에 참여한 사람은 평소 운동을 주(週) 평균 3∼5회 규칙적으로 해 왔으나 2020년 3월 세계보건기구(WHO)의 코로나-19 팬데믹 공식 선포 후 헬스장이 정상적인 운영을 하지 못하게 되면서 운동을 중단한 상태였다.
온라인 홈트 프로그램은 총 4주간 주 3회 실시됐다. 1∼2주 차엔 폼롤러(foam roller) 스트레칭ㆍ전신 타바타(Tabata) 운동이 포함됐다. 폼롤러 스트레칭은 자가 근막 이완(SMR)을 위한 운동 방법의 하나로, 근육의 긴장 상태를 이완시키는 효과가 있다. 타바타 운동은 짧은 시간 고강도 운동을 한 후 잠깐의 휴식시간을 갖고 다시 고강도 운동을 하는 형태로 구성돼, 단시간의 운동을 통해 효율과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3∼4주 차엔 폼롤러 스트레칭과 전신 코어(core) 운동을 하도록 했다. 코어 운동은 신체의 중심을 이루는 여러 근육을 효과적으로 단련할 수 있는 운동이다. 동작이 쉽고 일정한 공간만 있으면 할 수 있어 가정용 운동 프로그램에서 많이 활용된다.
온라인 홈트 전 참여자들의 스트레스 점수는 평균 17.7점이었으나 4주간의 홈트 후엔 평균 14.5점으로 약 18% 감소했다. 우울 점수는 약 48% 낮아져 감소 폭이 더 컸다. 반대로 자기 효능감 점수는 자기 효능감 점수는 15% 증가했다. 자기 효능감이란 코로나19 등 특수한 상황에서 자신이 적절한 행동을 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 신념 또는 기대감을 뜻한다.
김 교수팀은 논문에서 "코로나19 상황에서 생길 수 있는 급성 심리적 변화의 개선에 규칙적인 온라인 홈트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결론"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문화와 융합' 최근호에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