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자∙손녀를 돌보는 ‘할빠’(할아버지+아빠), ‘할마’(할머니+엄마) 등 고령층에서 백일해 위험이 증가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그동안 영유아에게 치명적인 질환으로 알려진 백일해는 발생률이 줄어들며 기억에서 잊혀져 가는 질환이었지만, 최근 국내 반복 유행과 함께 60대 이상 고령층의 발생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백일해는 고령층에게도 치명적일 뿐만 아니라 손자∙손녀를 돌보는 고령층이 백일해에 걸리면 면역력이 약한 신생아와 영유아에게 전염이 될 수도 있다.
보르데텔라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에 의해 발생하는 백일해는 그동안 영유아에게 치명적인 질환으로 알려져왔다. 하지만, 백일해 백신이 보급화 되면서 영유아 환자는 줄고, 고령층의 백일해 발생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실제,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018년부터 국내 60대 이상 환자 비율이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다. 2020년 작년에는 9세 미만(25.6%) 그룹 보다 9.6%p 많은 환자가 60대 이상(35.2%)에서 발생해 9세 미만 보다 많은 비율을 차지한 바 있다.
이런 추세에 따라 질병관리청은 2018년 성인 예방접종 안내서를 개정하며 백일해 등의 질환 예방 효과가 있는 Tdap 백신 접종대상을 강화하여 권고한 바 있다. 신생아 및 영아에서의 백일해 발생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 임산부에서 영아가 있는 가정의 형제, 조부모로 확대한 바 있다.
고려대구로병원 산부인과 조금준 교수는 “65세 이상 고령층에게 치명적인 백일해 질환의 특징을 고려해 본인뿐만 아니라 면역력이 약한 신생아, 영유아 손주의 감염 방지를 위해서라도 1958년 이전에 태어난 실버 세대라면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를 예방 할 수 있는 Tdap 백신 접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내에서 만 65세 이상 고령층에 사용 허가된 Tdap 백신은 GSK의 부스트릭스가 유일하다. 부스트릭스는 만 10세 이상의 청소년 및 성인, 만 65세 이상에서도 접종할 수 있으며 백일해는 물론, 디프테리아와 파상풍을 예방한다.
한편, 코로나19 백신은 다른 백신과의 동시 접종에 대한 안전성과 유효성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단독으로 접종해야 한다. 예방접종 면역 반응과 치료 간 간섭효과를 피하기 위해 코로나19 백신 1차 접종 전후 2주, 2차 접종 전후 2주 최소 간격 유지가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