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콕으로 '코로나 비만' 된 아이, 성조숙증 주의를

입력 2020.05.03 17:23
아이 입
개학이 연기되면서 활동량이 줄어 비만 위험에 놓인 어린이가 많다. 갑자기 살이 찌면 소아내분비질환 위험이 높아진다./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코로나19로 개학이 연기되면서 집에서 생활하는 아이들의 체중이 늘고 있다. 어린이 비만은 성조숙증, 소아당뇨, 이상지질혈증 등 소아 내분비질환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코로나 비만’의 위험성을 체크하고 예방할 수 있는 운동법을 알아본다.

살 찌면 성조숙증 체크해야

비만으로 지방세포가 증가하면 렙틴이라는 호르몬이 과다 분비되면서 사춘기 증상이 빨리 나타날 수 있다. 남아는 9세 이전에 고환의 부피가 증가하거나 여아는 8세 이전에 가슴 발달 등의 신체적 변화를 겪게 되면 성조숙증을 체크해야 한다. 비만으로 사춘기가 빨리 시작되면 성장판이 일찍 닫혀 키가 충분히 자랄 수 없다. 어릴 때 살은 키로 이어진다는 속설을 믿고 방치하면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윤 교수는 “성조숙증의 예방을 위해서는 규칙적인 수면, 올바른 식습관, 꾸준한 운동 등 올바른 생활습관을 길러주는 것이 중요하다”며 “성조숙증이 진행된 상태에서 병원을 찾으면 키 손실이 크기 때문에 조기 진단으로 성장 치료를 적시에 시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목이나 겨드랑이가 거뭇거뭇, 당뇨병 진행 의심

과체중이나 비만이 되면 인슐린저항성으로 혈당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목이나 겨드랑이에 색소가 침착 되는 ‘흑색극세포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비만 아이들 상당 수에서 발생한다. 이런 증상을 잘 씻지 않거나 햇빛에 탄 것으로 생각하고 쉽게 넘어가는 경우가 많은데 ‘흑색극세포증’은 당뇨병로 진행되는 상태를 암시하기 때문에 경각심을 가지고 살펴봐야 한다. 강동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윤종서 교수는 “갑자기 살이 찐 아이가 목이나 겨드랑이에 검은 띠를 형성하는 흑색극세포증이 나타나면 반드시 전문의 상담을 받아 당뇨병 진행 여부를 확인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인스턴트, 과당음료가 즐긴다면 이상지질혈증 주의

유독 인스턴트나 과당음료를 주식처럼 섭취하는 아이들은 이상지질혈증(고지혈증)을 주의해야 한다. 이런 식품들은 혈관 내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인다. 소아청소년기에 이상지질혈증을 방치하게 되면 대사증후군으로 진단되어 결국 관상동맥질환 등의 심혈관계 질환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빵이나 피자, 가공식품인 햄, 소시지 등을 피하는 것이 좋으며 잡곡밥이나 살코기 위주의 고기를 섭취하는 것을 권장한다.

비만 개선하는 추천 운동

아이가 비만하다면 식사량을 무리하게 줄이기보다 운동을 할 것을 추천한다. 과체중 상태라면 체중이 부하되는 유산소 운동이 좋다. 빨리 걷기, 계단오르기, 수영, 줄넘기, 인라인, 에어로빅 댄스, 배드민턴 등이다. 비만 상태라면 체중이 거의 부하되지 않는 유산소 운동인 보통 속도로 걷기, 수영이나 수중 운동, 자전거 타기, 에어로빅 댄스를 하는 것이 좋다. 고도 비만 상태일 때는 체중이 전혀 부하되지 않는 유산소 운동을 권한다. 느리게 걷기, 누워서 자전거 타기, 스트레칭, 수영이나 수중 운동 등이 있다.

�좎럩瑗띰쭩酉몌옙�⑥삕 �좎럥�삼옙占� �좎떬�낅츩占쎈냲�쇿뜝��占쏙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