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통신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급적 PTP 포장 그대로 조제, 보관하도록 권장되는 약이 있다. 인습성(습기를 흡수하는 성질)을 가진 약물이 대표적이다. 입안에서 물 없이도 쉽게 녹도록 만들어진 구강붕해정을 비롯해 혈압약인 텔미살탄 성분, 결핵약인 에탐부톨, 아목시실린-클라불란산 계열의 항생제 등 인습성을 가진 약이 생각보다 많다. 이러한 인습성 약은 다른 약제들에 비해 습기에 취약하므로 PTP 포장에서 빼내 보관하면 약효의 감소나 변질이 초래되기 쉽다. 특히, 습기가 많은 여름철에는 이 약을 까서 포장하면 약이 터져 변형되거나 연질 캡슐이 진득하게 눌러 붙는 일이 빈번히 발생한다. 약을 갈아 보관하면 '떡진' 형태로 약끼리 엉겨 붙기도 하므로 가급적 갈지 않고, PTP 포장 그대로 보관하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한 천식, 알러지 비염 등에 사용되는 몬테루카스트 성분처럼 빛에 약해서 PTP를 개봉해 보관하면 약효가 감소하거나 색이 변하는 약물도 있다. 전립선 비대나 탈모에 처방되는 피나스테리드 성분은 임산부 또는 임신 가능성이 있는 가임기 여성에게 노출되는 경우 남성 태아의 기형을 유발할 수 있어, 가정에 해당 여성이 있다면 우연한 노출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가급적 PTP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좋다.
그 외에도 항암제 성분이나, 장기 이식 후나 자가 면역질환을 앓는 환자가 쓰는 면역억제제 역시 주로 복용하는 환자들이 감염에 취약한 조건인 만큼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PTP 포장을 뜯지 않는 게 권장된다.
이처럼 단순히 복용 편의성을 위해 모든 약을 다 까서 함께 포장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 아닐 수도 있다. 특정 약물에게 있어 PTP 포장은 약과 환자 모두를 보호하기 위해 지켜줘야 할 피부와 같은 존재다. 약을 조제하기 전에 환자가 약 복용법뿐만 아니라 조제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들도 약사와 함께 상의한다면 보다 더 안전하게 약을 복용할 수 있을 것이다.
占쎌꼶利뷸�⑨옙 占쎈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