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혼인, 이혼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남성과 여성의 초혼 연령은 전년 대비 각각 0.2세씩 높아졌다. 남성 32.6세, 여성 30.0세로 집계돼 남성과 여성 모두 평균 30대에 접어들어 결혼을 한다는 것. 이런 가운데 ‘고령임신’에 대한 여성들의 걱정이 많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35세 이상의 고령산모라 할지라도 3·3·3 예방법만 숙지하면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임신 3개월전 산전 검사 받기
고령임산부의 경우에는 산전검사가 필수적이다. 특히 정기적인 산전검사는 고령임신부가 아이를 건강하게 낳으려 할 때 중요한 작용을 한다. 아이를 낳기 위해서는 최소한 임신 3개월 전에 산전검사를 받아 고혈압이나 갑상선 기능이상, 당뇨와 같은 질환 여부, 자궁의 건강 상태등을 살피는 것이 필요하다.
임신 3개월 전부터 엽산 복용하기
고령임산부의 경우 기형아 출산확률이 일반 임산부에 비해 높다. 따라서 태아의 신경관 결손 및 심장 기형, 구순구개열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엽산의 섭취가 필수적이다. 임신 3개월 전부터 임신 후 17주까지 필수로 섭취해야 한다. 엽산은 녹황색 채소를 비롯한 각종 채소, 과일, 콩, 곡물 등에 많이 들어 있다. 그러나 엽산은 식품만으로 섭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채소는 저장 후 3일이 경과하면 엽산의 70%가 자연 소실되고 조리 시에는 95%가 파괴되기 때문에 엽산 제품을 통해 섭취하는 것이 좋다. 시중에는 다양한 엽산 제품이 출시되어 있는데, 엽산 제품을 고를 때는 인터넷의 무분별한 정보들을 참고하기 보다는 원료부터 믿을 수 있는 제품을 구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식품안전관리기준의 새로운 기준으로 각광받고 있는 ‘코셔 인증’ 여부를 체크해보는 것도 바람직하다.
과한 3가지 금지(운동, 음식, 걱정)
고령임산부의 경우 임신 초기에 유산 위험이 매우 크기 때문에 태반이 온전하게 형성되지 않았을 때 과격한 운동을 하게 되면 착상과정에서 유산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과격한 운동보다는 가벼운 운동으로 컨디션 조절을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음식 조절도 필수적이다. 맵고 짠 음식은 임신중독증의 위험을 크게 만들 수 있으므로 음식은 가려 먹어야 한다. 고령임신으로 인해 지나치게 걱정을 하게 될 수도 있는데 이때 받는 스트레스 역시 태아에게 해가 된다. 육아일기를 쓰면서 자신의 상태를 하루 하루 비교해보며 안심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는 의사와 상의 할 때도 유용하게 사용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