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가려움과 부종으로 인한 귀 두께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홍삼과 면역억제제는 33.3% 감소시킨 반면, 달맞이꽃 종자유는 16%만 감소시켰다. 또 달맞이꽃 종자유는 피부 수분 손실과 염증세포 수에서, 면역억제제(사이클로스포린)는 알레르기 반응 정도를 나타내는 IgE수치에서 감소시키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상현 교수는“이번 연구를 통해 홍삼이 아토피 피부염 예방과 초기 증상 발현 및 재발을 억제하는 보조 치료제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토피 피부염은 우리나라 소아의 약 20% 정도가 앓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의 가장 큰 특징은 견디기 힘든 가려움증. 이로 인해 불면증, 정서장애, 학습장애, 환경 적응 능력 감소, 사회적 활동력 감소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만성적으로 진행 돼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아토피 피부염은 현재 원인과 치료법에 대해서 뚜렷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또 향후에 기관지 천식이나 비염, 결막염 등과 같은 다른 알레르기성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예방과 조기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