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고려대안산병원 연구결과

위암 수술 시 암세포 주변을 1cm 이하로 절제해도 안전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서울아산병원 위장관외과 김범수‧고려대안산병원 위장관외과 김아미 교수팀은 진행성 위암으로 수술받은 환자 1500여 명의 최대 11년 간 치료 결과를 분석했더니, 암과 위 절제 지점까지의 거리가 재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밝혔다.
위암이 생기면 암세포가 림프절과 혈관을 따라 밑으로도 퍼질 수 있기 때문에, 암이 있는 곳부터 소장이 시작하는 십이지장 일부까지 위를 절제해야 한다.
이때 혹시 모를 재발 위험 때문에 국제 가이드라인은 진행성 위암은 위쪽으로 5cm 정도 여유를 두고 위를 절제해야 한다고 제시한다.
1cm 이하 절제군, 국소 재발률 가장 낮아
최대한 위를 보존할수록 환자 삶의 질이 높아진다. 이를 고려해 김범수 교수팀은 2004년 6월~2007년 12월 서울아산병원에서 진행성 위암으로 수술을 받은 환자 1518명의 암과 위 절제 지점까지의 거리를 계산했다.
‘1cm 이하’, ‘1cm 초과 3cm 이하’, ‘3cm 초과 5cm 이하’, ‘5cm 초과’ 등 총 네 개의 집단으로 나눈 후 각 집단의 최대 11년 간 재발률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분석 기간 동안 각 집단의 국소 재발률(암 근처에 다시 생긴 비율)이 각각 5.9%, 6.5%, 8.4%, 6.2%로 오히려 ‘1cm 이하’ 집단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동안 국소 재발이 아닌 전체 위암 재발률도 각 집단별로 23.5%, 30.6%, 24%, 24.7%로 나타났다. 위 절제수술을 받으면 국소 재발이 아니더라도 재발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아 꾸준히 추적 관찰하는 것이 중요한데, ‘1cm 이하’ 집단에서 재발률이 가장 낮았던 것이다.
김범수 교수는 “‘1cm 이하’ 집단에서 재발률이 가장 낮게 나타나기는 했지만 통계적으로 조정하면 네 집단에서 재발률이 거의 비슷한 것을 확인했다”며 “이번 연구가 표준 가이드라인에 반영되려면 연구가 꾸준히 이뤄져야겠지만, 앞으로 환자들의 소화 기능 등 삶의 질을 높이는 근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세계소화기학저널’에 최근 게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