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 등 장기에 직접 쌓여 위험
피하지방과 내장지방, 흔히 체내 지방은 이 두 가지로 나뉜다. 최근에는 두 지방보다 건강에 훨씬 해로운 제3의 지방으로 '이소성(異所性) 지방'이 주목받는다. 이소성 지방은 무엇일까?
보통 지방은 피부 아래(피하지방), 복부 안 각종 장기 사이(내장지방)에 쌓이지만, 이소성 지방은 간·췌장·심장·근육 등 장기에 직접 쌓인다. 원래 쌓이지 않아야 할 곳에 쌓인 만큼 다른 지방보다 더 위험하다. 췌장에 쌓이면 인슐린 분비 능력이 떨어지고, 근육에 쌓이면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며, 심장·혈관에 쌓이면 심장병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여러 연구에서 확인됐다. 목에 있는 혈관·근육에 쌓였을 땐 뇌로 가는 혈류량이 감소해 인지기능 저하, 치매로 이어진다는 연구도 있다.

이소성 지방을 빼는 방법은 다른 지방을 빼는 방법과 같다. 지방이 많은 음식과 술을 피하고, 운동을 통해 근육량을 늘려야 한다. 다만, 피하지방·내장지방보다 빼기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占쎌꼶利뷸�⑨옙 占쎈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