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기·해산물 등의 단백질 섭취가 지나치게 부족하면 사망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에 따르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혜련 연구위원이 1998년·2001년에 실시되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토대도 이때부터 2012년까지 성인남녀 8941명의 사망률 등을 약 12년간 추적했다. 그 결과, 하루 단백질 권장량의 75% 미만을 섭취하는 사람의 사망 위험은 적정량 섭취하는 사람보다 24% 높았다. 단백질 섭취가 하루 권장량의 75% 미만인 노인 역시 단백질을 적정량 섭취한 노인보다 사망률이 24%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성인의 하루 단백질 섭취 권장량은 자신의 체중 1kg 당 1g이다. 한편 하루 칼로리 섭취량이 권장 칼로리의 75% 미만인 노인(65세 이상)의 사망 위험도 적정량의 칼로리(권장 칼로리의 75% 이상 125% 미만)를 섭취한 노인보다 43% 높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칼로리ㆍ단백질 섭취량에 따른 암ㆍ심혈관질환 사망률의 차이도 밝혀졌다. 단백질 섭취가 부족하면(권장량의 75% 미만) 심혈관 질환으로 사망할 위험이 60% 높았다(권장량의 75% 이상 125% 미만 섭취하는 사람 대비)고, 단백질 섭취량이 권장량보다 125% 이상 많은 사람은 암으로 숨질 위험이 32%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혜련 연구위원은 “중ㆍ장년층의 경우 충분한 단백질 섭취는 전체 사망위험을 낮추는 요인”이며 “노인에선 칼로리·단백질의 섭취 부족이 사망위험을 높인다”고 지적했다.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에는 생선·해산물·껍질 벗긴 닭고기·소고기·저지방 우유·저지방 요구르트·저지방 치즈·계란·돼지고기·콩 등이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