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 아프거나 구역질 나도 편두통 약 드세요

입력 2011.03.02 14:13
누구나 수시로 겪는 '골치아픈' 증상인 두통. 흔한 만큼 오해도 많다. 대한두통학회에서 두통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기 위해 성인 남녀 150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한국인 중 61.4%가 1년에 한 번 이상, 56.3%는 한달에 한 번 이상, 2.4%는 매일 두통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통의 원인을 제대로 진단받고 약을 복용한 사람은 11.6%에 불과했다. 응답자의 52%는 두통이 생겨도 병원에 가거나 약국에서 약을 사먹지 않고 그냥 참았다. 37.5%는 약국에서 스스로 진통제를 사먹고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두통 경험자 926명 기준·중복 응답 허용).

이런 실태는 대부분 두통을 대수롭잖게 여기고 넘기기 때문이다. 그러나 두통은 카페인 섭취, 성관계 등 생활 습관의 문제나 호르몬 이상 등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많다. 또, 머리가 아프지 않은 다른 증상 중에도 편두통이 원인인 경우가 적지 않다. 편두통은 뇌에 통증을 전달하는 역할을 맡고 있는 '뇌간' 부분의 세포들이 흥분돼 생긴다. 세포가 흥분하는 원인은 다양하다.이광수 서울성모병원 신경과 교수(대한두통학회 회장)는 "두통이나 편두통을 무시하다가 큰 병을 놓치는 경우도 있으므로 증상이 반복되거나 심하면 반드시 원인을 검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머리가 아프지 않은 편두통

◆머리가 아니라 배가 아프다

취학 전 어린이에게 많이 나타나는 '복부 편두통'이라는 질병이 있다. 소화기를 관장하는 뇌의 부위에 이상이 생겨 소화기가 있는 배가 아픈 것처럼 느껴진다. 어릴 때는 머리는 아프지 않고 주기적으로 배만 아프다가 성인이 되면 배는 아프지 않고 편두통만 생긴다. 김병건 을지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어린이가 소화기 쪽에 이상이 없는데도 주기적으로 배가 아프다고 하면 신경과에서 검사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치료는 편두통 약으로 한다.

◆어지럽고 구역질이 난다

뇌에서 일어나는 전기적 활동에 이상이 생기면 뇌의 자율신경이 연결된 부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그러면 자율신경계의 비정상적 상황 때문에 몸의 각 부위가 예민해진다. 주로 몸의 평형을 담당하는 뇌의 기관이나 소화기관이 영향받는다. 하지만 이 역시 머리가 아프지는 않다. 박광렬 중앙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원인을 알 수 없는 어지러움, 오심(惡心) 증상의 원인이 뇌에 있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말했다. 역시 편두통 약을 먹으면 낫는다.

◆눈앞이 번쩍이는 편두통

가끔씩 눈 앞에 '번쩍' 하는 섬광이 스치면서 눈 앞이 순간적으로 안 보이고 눈가를 콕콕 찌르는 통증을 겪는 사람이 있다. '조짐 편두통'이라는 증상인데, 머리 자체는 아프지 않은 경우가 많다. 그래서 평생 원인을 찾지 못하고 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광수 교수는 "이런 증상이 있는 사람은 뇌에 충격이 반복되기 때문에 노년에 뇌경색 등에 걸릴 위험이 높아지므로, 증상이 처음 나타났을 때 빨리 신경과로 가서 편두통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 밖의 두통들

◆일요일 오전이면 머리가 아프다


일요일 오전마다 머리가 아프다고 호소하는 직장인이나 학생이 의외로 많다. 이것은 카페인 금단 증상으로 나타나는 두통이다. 김병건 교수는 "매일 일정한 시간에 출근해서 커피 등 카페인을 섭취하다가 일요일에 갑자기 거르면 나타나는 금단 증상"이라고 말했다. 구역질·우울증·감기 증상과 같이 나타나기도 한다. 김 교수는 "아직 정확한 기전은 밝혀 지지 않았지만 뇌혈관은 카페인이 체내에 들어오면 수축됐다가 카페인이 빠져나가면 확장된다. 매일 커피를 마셔 혈관 수축-확장이 반복되다가 일요일에 커피를 거르면 반작용으로 혈관이 평소보다 더 확장돼 두통이 생기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성관계 중 머리가 깨질 것 같다

성관계 중 오르가즘에 이르렀을 때 두통이 생길 수 있다. 여자보다 남자에게 많이 생기며, 고혈압이면 더 흔하다. 뒤통수에 심한 두통이 생기며 성적 흥분이 고조될수록 정도가 심해진다. 이광수 교수는 "정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운동을 격렬하게 할때 나타나는 근육 뭉침이나 호르몬 변화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며 "대부분 일시적 현상이지만 간혹 뇌출혈이 원인인 경우도 있어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 보는것이 안전하다"고 말했다.

◆생리만 하면 두통이 생긴다

편두통은 여성호르몬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광렬 교수는 "사춘기 이전에는 남녀간 여성호르몬 수치가 비슷해 편두통의 남녀 유병률 차이가 거의 없지만, 사춘기가 지나면 여성에게 많이 나타난다"며 "여성호르몬 수치의 변화가 있는 시점인 생리 기간에는 특히 편두통이 발생하기 쉽다"고 말했다. 생리 편두통이 너무 심하면 생리 3~5일 전부터 편두통 약을 처방받아 5일 정도 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