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기에 얼굴 부비는 것보다 더러워… ‘이것’ 자주 빨아야

입력 2025.04.08 07:33
베개 안고 있는 여자
빨지 않은 베개가 변기보다 지저분하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베개에 얼굴을 부비며 자는 사람이 많다. 심리적 안정을 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주 빨지 않은 베개는 변가보다도 더러울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안 빤 베개, 변기보다 세균 많아
자는 동안 베개에는 우리도 모르는 사이 머리카락, 먼지, 각질, 노폐물 등이 떨어져 쌓인다. 이를 제때 제거하지 않으면 집먼지진드기가 서식한다. 각질과 노폐물 등은 집먼지진드기의 먹잇감이기 때문이다. 집먼지진드기는 알레르기 유발 물질로, 피부나 기도의 점막 등에 침투해 여드름, 두드러기, 습진 등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다. 천식이나 비염 등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베개에는 세균도 가득하다. 베개는 잘 때 흘린 땀이나 침에 의해 축축해지고 쉽게 오염된다. 관리하지 않으면 세균이 금세 번식한다. 실제로 베개에서 변기보다 96배 많은 세균이 검출됐고, 곰팡이와 진드기도 발견됐다는 서울대 생명과학부 연구 결과가 있다. 베개 커버를 세탁하지 않은 채 1주일이 지나면 변기 시트보다 박테리아 군집이 1만 7000여 개 더 많아진다는 영국 체스터대 연구 결과도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은 천식, 비염 등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고 얼굴에는 여드름을 유발할 수 있다.

◇1~2주에 한 번은 빨아야
베갯잇은 최소 1~2주에 한 번은 세탁하는 것이 좋다. 자주 빨기 어렵다면 매일 밖에서 두드리거나 탈탈 털어 각질과 먼지 등을 떨어뜨려야 한다. 집먼지진드기는 충격에 약해 두들기면 70%는 제거된다. 일주일에 한 번씩 햇볕에 30분 이상 말려주는 것도 좋다.

베개를 주기적으로 교체하는 것도 도움된다. 라텍스나 메모리폼은 3~4년, 폴리에스터 솜은 2~3년, 메밀 소재는 1~2년에 한 번은 바꾸는 게 바람직하다. 실내 습도도 신경 써야 한다. 습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집먼지진드기가 번식하기도 쉬워진다. 실내 온도는 18~20도, 습도는 50% 이하로 유지하는 게 좋다. 주기적 환기는 필수다.
�섎즺怨� �댁뒪 �ъ뒪耳��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