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 갈등에 독감 유행까지… 정부, 설 연휴 응급실 유지에 총력

입력 2025.01.16 22:00
조규홍 장관
16일,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이 당정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뉴스1
의정 갈등 장기화에 독감 유행세가 겹쳐 응급실 의료진들의 피로도가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설 연휴를 ‘비상 응급 대응 주간’으로 정하고 응급의료 유지 대책을 적극 추진한다고 밝혔다.

16일 기준 국내 독감(인플루엔자) 유행이 지난 2016년 이후 8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외래환자 1000명당 독감 의심 환자는 지난해 12월 1~7일 7.3명이었는데 4주 만인 12월 30일~2025년 1월 5일 99.8명으로 13.7배 불어났다.

독감으로 응급실에 방문하는 환자도 증가하고 있다. 12월 23~27일 전국 응급실 내원 환자는 평일 일평균 1만8437명으로, 전주 대비 3377명 증가했다. 증가한 환자 중 41%(1357명)가 독감 환자였다.

이대목동병원 남궁인 응급의학과 교수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독감이 대유행하고 있는데 환자들은 하나같이 증상이 심하다”라며 “응급실 환자나 전화 문의의 절반은 독감과 관련된 것”이라고 밝혔다.

전공의 이탈 이후 가동된 비상진료체계의 장기화에 따른 의료진 피로도 누적과 코로나19 등 독감 외 호흡기질환 유행으로 응급의료체계 유지의 어려움이 예상되는 상황이다. 이 같은 유행의 고비는 이번 설 연휴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정부도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 수가 250% 가산, 후속 진료·수술 수가 200% 가산 등 기존 지원책은 유지한다면서 추가 대책을 내놨다. 우선 오는 22일부터 다음달 5일까지 2주간을 '설 명절 비상 응급 대응 기간'으로 지정, 운영할 계획이다.

100개 이상의 발열 클리닉과 200개 안팎의 호흡기질환 협력병원을 재가동했고 경증 환자는 인근 병의원 이용을 권하는 등 응급실 과밀화를 방지한다는 구상이다. 환자 수용과 후속 진료 제공 등 비상진료에 기여한 정도를 평가해 의료기관에 인센티브도 지급한다. 아울러 감기, 복통 등 응급실 주요 경증 질환 관련 대처 방법 등을 담은 안내자료를 배포해 환자들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 조규홍 장관은 “정부는 각 지자체, 의료기관들과 긴밀히 소통하고 협력하여 설 연휴 대책을 빈틈없이 준비하도록 하겠다”라며 “이번 설 연휴 기간에도 비상진료체계 유지를 위해 예방접종, 발열클리닉 우선 이용 등 국민들의 협조를 부탁드린다”라고 말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헬스케어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