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화를 받거나 걸어야 할 때가 되면 유독 긴장되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사람들이 있다. 메신저는 편한데, 전화로 통화할 때 두려움을 느낀다면 ‘콜포비아(전화 공포증)’를 의심해야 한다. 콜포비아는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
콜포비아는 사회불안장애의 일종으로 전화 통화를 하는 데 어려움, 두려움 등을 느끼는 상태를 뜻한다. 콜포비아가 생기면 통화하는 행위를 어색해하는 것을 넘어 통화를 공포와 기피의 대상으로 여긴다. 증상이 심한 사람은 전화가 오기만 해도 ▲심장 두근거림 ▲식은땀 ▲답답함 ▲어지러움 등을 경험한다.
지난 2022년 9월 아르바이트 전문 포털 알바천국이 1980~2005년 출생자 2735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29.9%가 ‘콜포비아를 겪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구체적인 콜포비아의 증상으로는 ‘전화를 받기 전 높은 긴장감이나 불안을 느낀다’라는 응답이 62.6%로 가장 많았다. 콜포비아는 남들과 통화하는 ‘쉬운 일’도 할 수 없다는 생각에 자존감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우울증을 느끼는 악순환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콜포비아는 어릴 때부터 스마트폰과 메신저 사용에 익숙해진 사람일수록 나타나기 쉽다. 특히 코로나와 기술 발전 등으로 비대면 소통이 익숙해지면서 콜포비아가 늘어났다. 배달 음식을 시키거나, 식당을 예약하고 계산할 때 전화가 아닌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서 대면 소통이 감소했다. 소통의 기회가 줄면서 자연스럽게 전화 통화가 어색해지고 회피의 대상으로 자리 잡은 것이다. 콜포비아는 소극적인 사람만 겪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런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적극적이고 과감한 사람들은 본인에 대한 기대가 높기 때문에 완벽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완벽과 실수에 대한 강박이 있는 경우엔 불안의 유형으로 콜포비아를 겪을 수 있다.
콜포비아를 극복하려면 회피가 아닌 연습이 필요하다. 우선 가족이나 친구 등과 같이 자신이 편하다고 느끼는 사람과 연습하고, 그것도 힘들다면 혼자서라도 연습해보는 게 좋다. 이때 사전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다만, 불안감에 시나리오를 지나치게 많이 만들거나 의지하면 시나리오가 없을 때 콜포비아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이외에도 전화 후 상황을 미리 걱정하기보다 현재에 대해 말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콜포비아는 사회불안장애의 일종으로 전화 통화를 하는 데 어려움, 두려움 등을 느끼는 상태를 뜻한다. 콜포비아가 생기면 통화하는 행위를 어색해하는 것을 넘어 통화를 공포와 기피의 대상으로 여긴다. 증상이 심한 사람은 전화가 오기만 해도 ▲심장 두근거림 ▲식은땀 ▲답답함 ▲어지러움 등을 경험한다.
지난 2022년 9월 아르바이트 전문 포털 알바천국이 1980~2005년 출생자 2735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29.9%가 ‘콜포비아를 겪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구체적인 콜포비아의 증상으로는 ‘전화를 받기 전 높은 긴장감이나 불안을 느낀다’라는 응답이 62.6%로 가장 많았다. 콜포비아는 남들과 통화하는 ‘쉬운 일’도 할 수 없다는 생각에 자존감이 떨어지고 이로 인해 우울증을 느끼는 악순환으로 연결되기도 한다.
콜포비아는 어릴 때부터 스마트폰과 메신저 사용에 익숙해진 사람일수록 나타나기 쉽다. 특히 코로나와 기술 발전 등으로 비대면 소통이 익숙해지면서 콜포비아가 늘어났다. 배달 음식을 시키거나, 식당을 예약하고 계산할 때 전화가 아닌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서 대면 소통이 감소했다. 소통의 기회가 줄면서 자연스럽게 전화 통화가 어색해지고 회피의 대상으로 자리 잡은 것이다. 콜포비아는 소극적인 사람만 겪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런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적극적이고 과감한 사람들은 본인에 대한 기대가 높기 때문에 완벽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완벽과 실수에 대한 강박이 있는 경우엔 불안의 유형으로 콜포비아를 겪을 수 있다.
콜포비아를 극복하려면 회피가 아닌 연습이 필요하다. 우선 가족이나 친구 등과 같이 자신이 편하다고 느끼는 사람과 연습하고, 그것도 힘들다면 혼자서라도 연습해보는 게 좋다. 이때 사전 시나리오를 작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다만, 불안감에 시나리오를 지나치게 많이 만들거나 의지하면 시나리오가 없을 때 콜포비아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이외에도 전화 후 상황을 미리 걱정하기보다 현재에 대해 말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