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은 당신의 성생활을 '이렇게' 망친다

입력 2022.07.21 22:30
스마트폰 중독
소셜미디어와 스마트폰의 문제적 이용과 성 기능 문제 간,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됐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느라 집안일을 미룬 적이 있다. 인터넷 이용 시간이 지나치게 길단 지적을 받은 적 있다. 소셜미디어 활동을 하다 생업에 지장이 생기거나 생산성이 떨어진 적 있다….

소셜미디어의 ‘문제적 이용’을 판단하는 설문조사 문항이다. 최근 소셜미디어나 스마트폰의 과도한 이용과 성 기능 문제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포르투갈 연구팀은 1446명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 사용 행태 및 성생활 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분석했다. 소셜미디어와 스마트폰의 문제적 이용은 ‘스마트폰 중독 척도(SAS)’와 ‘인터넷 중독 검사(IAT)’를, 성생활 실태는 ‘여성 성 기능 지수 (FSFI)’와 ‘국제 발기능력측정 설문지(IIEF-15)’를 이용해 측정했다.

연구 결과, 소셜미디어 이용 행태에 문제가 있는 성인은 그렇지 않은 성인보다 성기능 문제를 많이 경험했다. 소셜미디어를 문제적으로 이용한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성적 욕구가 적고, 성관계 시 흥분도가 낮았으며, 오르가슴을 잘 느끼지 못했다. 성관계에 불만족한 정도는 더 컸다. 남성의 경우, 소셜미디어를 문제적으로 이용한 사람일수록 발기 능력과 성관계 만족도가 떨어졌다. 그러나 성적 욕구와 남성의 소셜미디어 문제적 사용 간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스마트폰의 문제적 이용 역시 성기능 문제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스마트폰을 문제적으로 이용하는 여성은 성관계 만족도와 흥분도가 낮았으며 오르가슴을 잘 느끼지 못했다. 다만, 여성의 스마트폰 문제적 이용과 낮은 성적 욕구 간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스마트폰을 문제적으로 사용하는 남성은 발기기능이 상대적으로 떨어졌으나, 성생활의 다른 측면과 스마트폰의 문제적 이용 간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포르투갈 응용심리대학(ISPA) 소속의 교신저자 루이 코스타는 “소셜미디어에 과몰입하는 개인은 친구나 연인과 떨어져 고립되기 쉽다”며 “소셜미디어 중독은 정서에 해롭고, 부정적인 정서 상태는 성생활을 어렵게 만든다”고 말했다.

다만 연구진은 스마트폰의 문제적 이용이 소셜미디어의 문제적 이용을 포괄하므로, 스마트폰의 문제적 이용이 단독으로는 성 기능 문제와 상관관계가 없을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소셜미디어 사용 시간을 줄이거나 사용 패턴을 바꿨을 때 성생활이 개선되는지에 관해서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지난 5월 국제학술지 ‘성의학 저널(The Journal of Sexual Medicine)’에 게재됐다.
�좎럩瑗띰쭩酉몌옙�⑥삕 �좎럥�삼옙占� �좎떬�낅츩占쎈냲�쇿뜝��占쏙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