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모씨는 최근 들어 발과 다리의 저림 증상이 심해졌다. 점차 감각이 없어질 뿐 아니라, 다리에 힘이 빠지는 느낌이 들었다. 오래 서 있거나 걸을 때 증상은 더 심했다. 그러다 가까운 거리도 가다 서다를 반복해야 할 정도로 걷기가 힘들어지자 병원을 찾았는데, 원인이 뜻밖의 질환인 '척추관협착증'이라고 했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추뼈 사이의 공간이 좁아지면서 내부에 있는 신경을 누르는 질환이다. 나이 들면서 생기는 퇴행성질환으로 여겨졌지만, 이제는 잘못된 자세로 스마트폰이나 PC를 사용하는 젊은층이 늘면서 발병 연령대가 낮아졌다. 안양국제나은병원 정병주 원장은 "척추관협착증은 심해지면 보행장애까지 일으킬 수 있고, 넓은 범위의 감각 소실, 감각 이상 증상, 괄약근 장애까지 유발할 수 있다"며 "증상 초기부터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척추관협착증은 선천적으로 척추관이 좁은 경우 쉽게 발생한다. 또 오랜 시간 쪼그려 앉아 일을 하는 직업을 갖고 있거나 교통사고나 외상으로 인한 척추 골절로도 발생할 수 있다. 평소 무리 없이 걸을 수 있던 거리를 걸을 때도 가다 쉬다를 반복하게 된다면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척추관협착증 초기에는 주사나 약물, 물리치료 등으로 개선이 가능하다. 그러나 심한 통증이 생길 때까지 증상을 방치해서 수술적 치료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도 있다. 수술치료 방법 중 하나인 ‘PSLD(Posterior Stenoscopic Lumbar Decompression)’는 기존 절개 방법 대신 국소 척추 마취를 통해 내시경을 활용, 협착 부위를 근본적으로 넓혀주는 치료법이다. 정병주 원장은 "PSLD는 시술 시간은 짧지만 매우 섬세한 기술이 필요하고, 환자에게 맞는 맞춤형으로 진행돼야 한다"며 "시술 경험이 풍부한 숙련된 의료진이 있는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과 시술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척추관협착증 환자들은 통증 탓에 잘 안 움직여 근육이 약화되고, 이로 인해 통증이 더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근력운동과 유연성 운동을 꾸준히 하는 게 도움이 된다. 또한 잘못된 관절을 바로잡아 통증을 줄이고 허리 주변 근력을 강화하는 도수 치료를 받는 것도 방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