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몸이 늙어가면서 나타나는 '노화의 신호'는 다양하다. 피부에는 주름이 생기고, 흰머리가 자라기 시작하며 체력이나 체질 등에도 변화가 나타난다. 이러한 변화들은 일상에 불편함을 주기도 하는데, 대표적인 노화의 증상이 바로 '노안'이다.
노안은 나이가 들면 자연스럽게 찾아오는 시력 감퇴 증상으로, 수정체의 탄력성이 떨어져서 발생한다. 수정체는 자동으로 초점을 조절해 망막에 상을 맺도록 하는데, 나이가 들면 이 수정체의 탄력성이 떨어져 초점 조절을 못해 가까이 있는 사물이 잘 보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노안이 나타나면 근거리 작업이 힘들어진다. 이에 팔을 쭉 뻗어서 책이나 화면을 보게 되며, 눈앞이 자주 침침해지고 흐릿해지거나 사물이 겹쳐 보이는 증상도 나타난다. 이 외에도 개인차에 따라 근거리와 원거리가 모두 보이지 않는 경우도 있다.
문제는 50대 이상에게 나타난다고 여겨졌던 노안이 최근 30~40대에게서도 나타난다는 점이다. 디지털 기기와 매체의 발전으로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아지고 TV로 볼 수 있는 콘텐츠가 다양해진 만큼 우리 눈은 전자파 등에 의해 나빠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기 때문이다. 이러한 환경은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눈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고, 젊은 노안을 만드는 요인이 된다.
노안은 다른 질환처럼 근본적인 원인을 없애는 방법의 치료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노안이 시작되었다면, 일상 속에서 눈 건강을 챙기는 습관으로 증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먼저, 일을 하거나 생활하면서 주변에 조명을 밝게 켜두면 동공이 축소되면서 초점 심도가 높아지므로 초기 노안 증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책을 볼 때는 글씨가 큰 종류를 보고 컴퓨터 화면이나 스마트폰의 글씨와 그림을 확대 설정하는 것도 좋다
노안 교정은 필요에 따라 원거리용, 근거리용 안경을 따로 사용하거나 이중초점 혹은 누진다초점렌즈 안경을 착용할 수 있다. 안경 착용이 불편하거나, 안경을 사용하기 힘든 작업을 할 경우는 전문 의료진과의 상담을 통해 인공수정체삽입술 등으로 시력을 회복할 수도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질환에 대한 정확한 숙지와 꾸준한 검진이다. BGN밝은눈안과 잠실롯데월드타워 김정완 원장은 "일반적으로 40대 때부터는 본격적인 노화가 나타나기 때문에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으로 안과에 방문해 정확한 눈 상태를 파악하고, 전문의로부터 안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조언을 듣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