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적으로는 신경 쓰이지 않을 작은 소음도 거슬린다면 ‘청각과민증’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청각과민증은 일정 소리를 소음으로 인식해 청각이 유독 예민하게 반응하는 질환이다.
청각과민증은 귓속 근육이 마비되거나 손상돼 발생한다. 외부 소리가 여과 없이 귓속으로 들어오는 것이다. 소리를 뇌로 전달하는 신경(청신경)이 예민해도 생긴다. 또한 감각 기능이 발달해 반복되는 소리에 익숙해지지 않고 예민해지는 것도 원인일 수 있다. 대개 반복되는 소리를 들으면 점차 자극에 둔감해지지만 청각과민증 환자는 반대로 자극에 더 예민해진다. 이를 ‘자극박탈상황’이라 부르는데, 주변 환경이 조용할수록 잘 나타난다. 낮에는 아무렇지 않던 시계 초침 소리가 밤에는 신경 쓰일 정도로 크게 들리는 것이 그 예이다. 청각과민증이 있으면 TV소리나 노랫소리 같은 일반적인 소리도 소음으로 받아들여 심리적인 불안을 겪기도 한다. 동시에 몸이 흥분 상태가 돼 뒷목이 뻣뻣해지거나 일시적으로 혈압이 오르는 것과 같은 2차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청각과민증을 완화하려면 거슬리는 소리를 오히려 자주 듣는 것이 도움이 된다. 귀와 뇌의 청신경을 그 소리에 적응시키기 위해서다. 도저히 참기 힘들 때는 귀마개를 이용해 잠시 피하면 된다. 생활에 지장이 갈 정도로 심하면 병원 치료를 고려해본다. 근육·신경을 안정시키는 약물치료나 일정 시간 동안 '소리치료 기계'를 귀에 장착하는 치료가 있다. 치료를 받으면 1~3개월 후 대부분 호전된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섎즺怨� �댁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