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계 소리 거슬린다면… 당신도 '○○​○​○​○'입니다

귀를 막은 사람
청각과민증이 있으면 평범한 소리도 소음으로 느껴진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시계 초침 소리, TV 소리, 말소리 등 일상적인 소리가 거슬리고 불쾌하다면 '청각과민증'일 수 있다. 청각과민증은 일정 소리를 소음으로 인식해 청각이 예민하게 반응하는 질환이다.

청각과민증은 귓속 근육이 마비·손상돼 소리가 여과 없이 바로 청세포를 자극해 발생한다. 또 감각 기능이 유독 발달해도 생길 수 있다. 보통 반복되는 소리를 들으면 자극에 둔감해지지만, 청각과민증 환자는 오히려 자극에 더 민감해진다. 이를 '자극박탈상황'이라 부르는데, 주변이 조용할수록 잘 나타난다. 낮에 잘 들리지 않던 시계 초침 소리가 밤이 되면 유독 잘 들리는 것과 같은 원리다. 청각과민증이 있으면 TV 소리나 노랫소리 등 평범한 소리도 소음으로 인식해 심리적 스트레스를 겪게 된다. 심할 경우 불편한 소리를 내는 사람이나 물체에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기도 하며, 대인기피증 등으로 이어져 사회생활에 어려움이 생길 수도 있다.

청각과민증이 있는 사람은 소리를 피하고자 귀마개를 착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귀마개를 착용하면 청각과민증 치료가 더 어려워질 수 있다고 말한다. 증상 완화를 위해선 오히려 거슬리는 소리를 자주 들어 귀와 뇌의 청신경을 적응시키는 게 좋다. 만일 일상생활이 어려운 정도라면 병원 치료를 고려해본다. 치료법으로는 근육·신경을 안정시키는 약물치료나 소리 치료가 있다. 소리 치료는 일정 시간 소리 발생기를 통해 이명보다 듣기 편한 소리를 들으면서 뇌의 민감도를 서서히 낮추는 방법이다.

의료계 뉴스 헬스케어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