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소 축구를 즐기는 직장인 A씨(32)는 몇 개월 전부터 무릎에서 '뚝뚝' 소리가 나는 것을 느꼈다. 특히 무릎을 구부렸다 펴는 동작에서 증상이 심해 관절염을 의심하고 병원을 찾았다가 ‘추벽증후군’ 진단을 받았다.
최근 A씨 처럼 젊은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무릎 질환을 호소하는 환자가 늘고 있다. 특히 무릎에서 ‘뚝뚝’ 소리가 나면서 통증을 동반하는 추벽증후군을 앓는 환자가 적지 않다. 날이 추워지면 증상이 더 심해지고 관절이 붓거나 굳을 수도 있어 세심한 주의와 관찰이 필요하다.
무릎 굽힐 때보다 펼 때 통증 심해
추벽이란 태아 때 무릎 속에 형성되는 얇고 부드러운 활액막이다. 일반적으로 생후 6개월 이후 사라지지만 성인이 되어서도 남아 있으면 추벽증후군을 일으킨다. 보통 성인 3명 중 1명이 추벽을 가지고 있다. 추벽증후군은 무게가 실린 상태에서 무릎이 굽혀질 때 추벽이 연골을 압박해 손상이 생긴 것을 말한다. 쪼그리거나 무릎을 꿇고 앉아서 오랜 시간 집안일을 하는 주부나 등산을 많이 하는 중년, 과도한 운동을 하는 20~30대에서 많이 나타난다.
안양국제나은병원 박형근 원장은 “평소 걸어 다니는 데는 문제가 없지만 무릎을 굽힐 때보다 펼 때 통증이 더 심하기 때문에 계단을 오르거나 오래 앉아 있다가 일어날 때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며 "걷는 데 지장이 없다고 단순 염증으로 생각하고 방치하면 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증상 초기에 정확한 진료와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적절 체중 유지하고, 양반다리 피해야
추벽증후군으로 진단받았다면 우선 무릎 관절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휴식을 취해야 한다. 그리고 자세와 생활 습관 개선, 물리치료와 약물치료와 같은 보존적 치료를 병행한다. 보존적 치료로도 증상이 악화된다면 관절 내시경을 통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평소에는 오래 쪼그리고 앉아 있거나 서 있는 자세, 계단을 오르내리는 일을 되도록 피한다. 체중이 늘어날수록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압력이 증가하므로 평소 비만 예방을 위해 운동을 하는 것도 좋다. 박형근 원장은 “자전거 타기, 계단 오르기, 달리기처럼 반복적으로 무릎을 굽혔다 펴는 자세는 가능한 한 줄이고, 다리 꼬기나 양반다리도 피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