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다리쑥국에는 일단 도다리가 없다. '좌광우도'라고들 한다. 눈이 몸 왼쪽에 쏠려 있으면 광어(좌광), 오른쪽에 있으면 도다리다(우도). 도다리쑥국에 들어간 생선도 몸 오른쪽에 눈을 두긴 했다. 그래도 도다리는 아니다. 왜?
문치가자미란 생선이 있다. 함경도를 위시해 동해 사람들이 즐겨 먹는 가자미식해의 주재료다. 남해에서도 흔히 잡힌다. 흔하다 보니 어느 때부터인가 바닷가 식당 주인들이 문치가자미를 도다리로 퉁치고 쑥과 함께 끓여냈다. 국립생물자원관이 제공하는 생물다양성 정보는 "몸길이 35㎝가량으로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라고 문치가자미의 체형을 정리해준다.
'진짜' 도다리는 티 나게 마름모꼴이다. 가자밋과 생선이긴 한데 학술적으로 다른 어종이다. 문치가자미에 비해 상대적으로 귀한 편이어서 주로 횟감이다. 국 끓여 먹기엔 아까우니까.
가자밋과 생선들을 넙치(광어)류와 구분해 대강 도다리로 불러줄 순 있다. 하지만 도다리쑥국의 정체성을 얘기할라치면 다른 문제가 남는다. 문치가자미의 '제철'은 봄 아닌 여름이다. 봄엔 산란 직후, 여위고 허기진 상태로 먹이를 찾아 헤매는 중이다. 그에 반해 '해쑥(여린 쑥)'은 그야말로 봄날이 제철이다. 4월 지나 질겨지기 전, 봄날의 해쑥은 절정의 향과 맛을 낸다. 이 정도면 계절의 별미 쑥국이 있고, 거기에 도다리(문치가자미)를 추가한 걸로 보는 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