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4일 묻지마 폭행으로 40대 남성이 경찰에 붙잡혔다. 경찰에 따르면 범인은 이날 오전 7시쯤 서울 영등포 대림동 한 주유소에서 직원을 무차별 폭행했다. 이후 인근 공원에서 이유 없이 사람을 폭행, 벽돌을 주워 택시를 타고 택시기사를 가격했다. 또 지나가던 행인을 다른 벽돌로 수차례 가격하기도 했다. 묻지마 폭행을 한 남성이 조현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조현병에 대한 관심이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정신분열증'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진 조현병은 정신적으로 혼란된 상태를 유발하는 뇌질환이다. 2016년 기준 국내 조현병 환자는 10만7114명으로 비교적 흔한 질병이다(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 조현병에 걸리게 되면 망상과 환각을 호소하기도 한다. 망상은 피해망상, 과대망상 뿐만 아니라 신체적 망상까지 수반한다. 환각의 경우 환청이 대표적 증세다. 이 밖에 충동 조절에 문제를 보이기도 한다.
조현병은 불치병이 아니다. 꾸준한 약물치료로 효과를 볼 수 있다. 조현병은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의 균형을 조절하는 약을 먹으며 치료한다. 전문가들은 조현병은 초기에 치료할수록 치료 효과가 좋기 때문에 병을 쉬쉬하기보다 적극적으로 의심하고 병원 치료를 권장해야 한다고 말한다. 관련 약물은 매일 복용해야 하는데, 최근에는 1~3달에 한 번씩 주사하는 약도 나왔다.
질환 특성상 자신이 정신질환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고, 약 복용을 중단하는 사례도 많다. 그러나 이때는 조현병이 재발할 위험이 커지므로, 임의로 약 복용을 중단하는 건 피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