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 주변 구조 복잡… 수술 정교해야 합병증 안 생겨"

입력 2018.05.28 09:19

경희대병원 다학제진료팀 구성해
환자 상태별 최적의 치료법 찾아

"갑상선암은 초음파 검사만으로도 조기에 발견하기 쉽고 완치율도 높지만, 수술 시 작은 실수만으로 여러 합병증을 겪을 수 있습니다. 갑상선암 수술 시엔 정교함이 뒷받침돼야 합니다."

박원서 교수는 “갑상선암은 정교하고 세밀하게 수술해야 합병증이 안 생긴다”고 말한다./경희대병원 제공
경희대병원 갑상선·내분비외과 박원서 교수의 말이다. 박원서 교수는 "갑상선은 부갑상선·기도·성대 등과 가까이 위치해 있어서 정교하게 수술하지 않으면 다른 조직을 건드려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갑상선암 수술 후 주요 합병증은 출혈, 되돌이후두신경(성대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신경) 손상, 부갑상선 손상 등이다. 박 교수는 "우리나라의 경우 갑상선암 수술 시 이런 합병증이 생길 가능성이 1% 미만일 정도로 드물긴 하지만, 합병증이 한 번 발생하면 응급수술을 받아야 하거나 목소리에 이상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뒤따를 수 있다"고 말했다.

수술을 정교하게 하는 동시에, 흉터가 남지 않게 하기 위해 로봇 수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겨드랑이와 유륜 부위를 작게 절개해 수술 도구를 집어 넣어 갑상선을 절제하는 것이다. 박원서 교수는 "입술과 잇몸 사이 점막에 구멍을 뚫고 수술 도구를 집어 넣는 경구강 로봇 수술법도 개발됐다"며 "로봇 수술을 적용할 수 있는 환자 중 미용적인 측면을 중요시 할 경우 이 수술법을 선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원서 교수가 포진해 있는 경희대병원 갑상선암 다학제진료팀은 환자의 상황에 맞는 최적의 치료법을 찾기 위해 내분비내과, 핵의학과, 갑상선·내분비외과, 이비인후과, 종양혈액내과 의료진이 협진한다. 암 크기가 5㎜ 미만이면서 림프절 전이가 안 됐고, 경계를 침범하지 않았으며, 갑상선의 한 쪽에만 암이 있는 경우 수술하지 않고 경과를 지켜본다. 수술해야 할 상황이면 어떤 방식의 수술법을 적용할지 의료진과 환자가 논의해 결정한다. 박 교수는 "암을 진단받았다면 인터넷이나 방송 등을 통해 듣는 출처가 불분명한 정보에 현혹되지 말라"며 "주치의만큼 환자를 생각하고 환자의 병을 이해하는 사람이 없다는 걸 기억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