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 감소하는 상황 달라

척추질환은 디스크가 대표적이다. 디스크는 척추 속 디스크가 제 자리를 이탈해 밖으로 빠져나오면서 신경을 누르는 질환이다. 이와 비슷한 증상을 유발하는 또 다른 척추질환이 있는데 바로 '척추협착증'이다. 척추협착증은 척추신경이 지나가는 척추관이 좁아져서 통증이 생기는 병이다. 두 질환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본다.
디스크가 생기면 피부에 종기 같은 염증이 생겼을 때와 비슷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초기에 염증을 줄이는 소염제를 복용하고, 신경주사치료 등 염증과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치료를 하면 튀어나온 조직이 점차 흡수돼 회복될 수 있다. 물론 터져 나온 조직이 많아서 흡수되지 않는 경우에는 염증이 지속되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로 제거해야 한다.
반면 척추협착증은 가만히 누워 있거나 앉아 있으면 별 증상이 없다가도, 오래 서 있거나 걷게 되면 점차 압박이 심해져 다리가 무겁고 터질 듯 아프다. 또 허리를 구부리거나 앞으로 숙이거나 눕는 등 휴식을 취하면 통증이 사라지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신경의 압박이 덜해지도록 하는 치료를 한다. 척추신경으로 가는 혈류를 늘리는 약물을 복용하고, 풍선확장술 같은 시술을 이용하여 척추관을 넓히는 방법을 쓰기도 한다. 척추협착증도 어느 정도의 염증은 동반되어 있어 신경주사치료나 소염제도 효과가 있다. 그러나 통증이 짧은 시간 내에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 유성선병원 정형외과 김석원 과장은 "대략 한 번에 쉬지 않고 500m, 또는 30분을 걷지 못하는 경우 협착증이 심해진 상태이고, 이런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권한다"고 말했다.
척추협착증을 예방하려면 우선 척추에 무리를 가하는 행동을 하면 안 된다. 무거운 것을 나르거나 허리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을 삼가야 하며, 척추로 가는 무게를 줄이기 위해 체중을 조절하는 것도 중요하다. 김석원 과장은 "앉거나 설 때 척추가 비틀리지 않게 하고, 걷기 운동과 수영 등을 규칙적으로 시행해 허리 근육을 강화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