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이 되면 신체의 근육, 인대 등이 수축하여 압박이 심해지기 때문에 신체 곳곳의 통증이 더욱 심해진다. 그 중 노년층에서 특히나 고통을 호소하는 질환은 척추협착증이다.
대표적인 퇴행성 척추질환인 척추협착증은 신경이 지나가는 척추관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해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주로 50대 이후에 급증하여 노년층에서 많이 볼 수 있다. 허리를 장시간 굽히는 등 척추에 지속적인 압박과 부담을 가하면 발병 위험이 커진다.

척추협착증은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천천히 진행되기 때문에 초기에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통증이 나타나고 사라지기를 반복하기 때문에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않고 지나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척추협착증이 발병하면 허리를 중심으로 엉덩이와 다리 부위에 통증이 나타난다. 허리통증이 없고 엉덩이와 다리 통증만 느껴질 때도 있어 증상을 자세히 살펴보는 것이 좋다. 발병한 지 오래될수록 다리가 무거워지고 저리며 시린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이 악화되면 조금만 걸어도 다리가 심하게 저리고 힘이 빠져 제대로 걷기가 힘들어진다.
본브릿지 병원 이희상 원장은 “척추협착증 환자가 급작스러운 외상을 입게 되면 질환이 급격하게 악화할 수 있다”며 “증상 악화로 보행 장애나 괄약근장애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증상이 의심되면 빨리 병원에 내원해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척추협착증은 최근 신경성형술이나 풍선확장술 같은 비수술로도 큰 효과를 보고 있다. 수술보다 부담이 적고 회복도 빨라 많은 환자가 비수술치료를 선택하고 있다. 하지만 증상이 심한 경우나 비수술치료를 받아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수술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이 원장은 “척추협착증은 치료 후에도 꾸준한 사후관리가 매우 중요하다”며 “바른 자세 유지나 척추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을 통해 척추의 기능을 회복하고 재발가능성을 줄이는 것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