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 못 자면 '치매' 잘 걸립니다"

입력 2020.09.15 14:59
잠 못 자는 사람 일러스트
잠을 제대로 못 자면 치매 위험이 높아진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잠을 잘 자고 숙면을 취하는 것은 신체 건강뿐 아니라 정신 건강을 위해 필수다. 하지만 갈수록 불면증을 앓는 사람이 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 불면증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지난 2015년 45만6124명에서 2019년 63만7328명으로 4년 새 28.4%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50세 이상 중장년층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하지만 중장년층 불면증은 노년기 치매 위험을 높일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안양국제나은병원 김지웅 원장은 "수면 부족, 자다가 자주 깨는 수면의 질적 저하가 치매 발병률을 50%까지 높인다는 연구 결과들이 최근 나오고 있다"며 "깊은 잠을 못 자면 우리가 자는 동안 배출돼야 할 베타아밀로이드라는 독성물질이 뇌에 축적되면서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을 높인다"고 말했다. 치매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뇌에 독성 물질이 쌓이는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가장 흔하고, 완치가 어려워 예방하거나 초기에 발견하는 것이 최선이다.

잠을 잘 자려면 일정한 시간에 자고, 깨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특히 잠에서 깨는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에 더 집중한다. 김지웅 원장은 "몇 시에 잠들었는지에 상관없이 매일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는 습관을 들이라"며 "다만, 밤 10시부터 새벽 2시까지는 '멜라토닌' 호르몬이 활발하게 분비돼 이때 되도록 깊은 잠을 자고, 최소 7시간 이상 수면을 취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TV나 유튜브를 보며 잠드는 습관은 수면의 질을 떨어뜨려 피한다. 주중에 부족한 잠을 주말에 몰아서 오래 자는 것도 좋지 않다. 당일치기로 해외여행을 다녀온 것처럼 몸에 무리를 줄 수 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좎럩伊숋옙�대き占쎄퀣占쏙옙�곗굻占쎌닂�숋옙關援� �좎럩伊숋옙恝�숋옙�깆굲占쎌쥜�� �좎럩伊숋옙��숋옙�녿쫯占쎌쥙�ο옙�먯삕占쎌슜�삣뜝�숈삕占쎌쥙猷욑옙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