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등산 후 통증 있다면…‘만성 염좌’ 위험

입력 2020.01.04 08:30
겨울 등산 사진
사진설명=겨울철 등산은 다른 계절보다 부상당하기 쉬워 각별히 조심해야 한다./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소복히 눈이 쌓인 ‘설경(雪景)’을 보러 산을 찾는다. 이 시기에는 다른 때보다 부상 위험이 커 주의가 필요하다.

하산 잘해야 관절 부상 막는다

산은 지상보다 기온이 낮아 보온에 더욱 신경 써야 한다. 방한, 방풍 기능이 있는 등산복을 착용하고 모자와 목도리, 장갑으로 체온을 유지해야 한다. 낮은 기온에 관절이 경직되므로 무릎 보호대와 두꺼운 양말로 관절 보온에도 신경 써야 한다.

겨울 산행은 특히 하산을 주의해야 한다. 내려갈 때 하체에 과도한 하중이 전해져 무릎과 발목 부상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눈에 미끄러져 자칫 발을 잘못 디뎌 넘어지는 경우도 많아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중장년층은 무릎 반월상 연골판 손상을 조심해야 한다. 무릎 관절 위아래에서 충격을 흡수해주는 쿠션 역할을 하는 반월상 연골판은 나이가 들어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면 작은 충격에도 쉽게 찢어진다. 하산 시에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은 평지에서 걸을 때보다 3배가 넘는다.

강북힘찬병원 이광원 병원장은 “반월상 연골판이 손상되면 무릎이 잘 펴지지 않거나 무릎이 힘없이 꺾이고, 무릎 안쪽에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통증이 사라져도 손상된 연골판은 자연치유되지 않는다”며 “연골판 손상을 치료하지 않으면 손상 부위가 점점 커져 퇴행성 관절염으로 발전할 수 있으니 산행 후 무릎 통증이 나타난다면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발목을 삐끗하는 염좌도 흔한 부상 중 하나다. 발목 관절을 지탱해주는 주변 인대와 힘줄이 부담을 많이 받게 되면 시큰거리고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정도가 심하지 않다면 충분한 휴식을 통해 자연스럽게 상태가 호전되기도 하지만 계속 통증이 나타난다면 만성적인 염좌가 나타날 수 있다.

낮은 산도 준비운동 필수

낮은 산이라 가볍게 여겨 준비에 소홀해서는 안 된다. 산을 오르내리며 허리를 굽혔다 펴는 동작에도 허리를 지탱해주는 인대에 무리가 가 요추 염좌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산을 내려오다 미끄러지면 허리디스크나 척추압박골절의 위험이 있어 밑창이 닳지 않은 등산화를 신고, 등산스틱을 사용하는 등 낙상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허리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산행 전 10분 이상 스트레칭을 해 근육을 충분히 이완시켜야 한다. 낮은 산이어도 1시간에 10분 정도는 휴식을 취하며, 틈틈이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근육을 풀어주는 것이 좋다. 이광원 병원장은 “하산 후 허리 통증을 유심히 살펴볼 것을 권한다”며 “가벼운 근육통으로 오인하면 습관성 염좌나 허리디스크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2주 이상 나타난다면 병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섎즺怨� �댁뒪 �ъ뒪耳��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