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은 무조건 식후 30분? 이제 식후 바로 드세요

입력 2017.09.27 10:37
약 복용법이 적힌 약 봉투
서울대병원이 약물복용 기본용법을 기존 '식사 후 30분'에서 '식사 직후'로 변경한다./ 사진=서울대병원 제공

식후에 복용하는 약은 무조건 식후 30분에 먹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최근 서울대병원은 약물복용 기본용법을 '식사 후 30분'에서 '식사 직후'로 변경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환자가 '식사 후 30분' 처방을 받을 경우 시간을 준수해야 한다는 부담감과 함께 복약을 잊는 경우가 잦았다. 식사 후 30분이 지난 뒤 약을 복용하라는 내용은 실제 식약처 허가사항에 게재되지 않았지만, 의약품 처방에 있어 존재하던 관행이다.

약은 종류나 성격에 따라 식후, 식전, 취침전 등 특별히 지정된 용법이 있다. 식후 복용하는 약의 경우 음식물과 함께 섭취할 때 약 효과가 높아지거나, 위 점막 등을 보호할 필요가 있을 때 권장된다. 반대로 식전에 복용하는 약은 음식물이 약의 흡수를 방해하거나 식전 복용에 약효가 잘 나타나는 경우가 해당된다. 취침 전에 복용하는 약은 변비약과 같이 아침에 배변 효과를 기대하거나, 졸음을 유발하는 항히스타민제가 포함돼 일상생활에 방해가 될 경우 권장된다.

기존의 '식사 후 30분'이라는 처방은 약물에 의한 속쓰림을 예방하고, 몸 속에서 약이 일정한 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병원에서는 여러 약을 복용하는 경우 시간에 맞춰 약물 복용이 어렵다는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전문가들은 '식사 후 30분'에 대한 의학적 근거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이런 복약기준을 따르지 않고 있다고 말한다. 일반적으로 의약품에 지정된 용법은 '하루 0회'와 같이 횟수로만 나타내고 있다.

이번 복약용법 변화에 대해 서울대병원 약제부 관계자는 이번 조치가 환자들의 불편사항을 반영한 결과로, 향후 환자 복약 순응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약사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신장내과 김연수 교수는 "이번 변경은 의료진 중심이 아닌 환자 중심의 처방을 위한 병원 내부 노력의 결과물"이라며 "약 섭취가 제때 이뤄지면 치료효과에도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약제부장 조윤숙 약사는 "이번 변경은 처방을 보다 간소화시켜 병원 내 조제 대기시간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