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층 척추 건강 해치는 '척추관 협착증' 예방법

관절 모형
척추관 협착증 예방을 위해 허리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사진=조선일보 DB

허리부터 시작해 발바닥까지 저린 척추관 협착증이라는 질환이 있다. 병이 발생하면 주로 하체가 아파 다리에 병이 생겼다고 오해할 수 있다. 그러나 다리뿐 아니라 허리에도 통증이 느껴지는 데다 50대 이상일 경우, 척추관 협착증을 의심해보는 것이 좋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50세 이상 척추관 협착증 환자는 지난 2010년 84만 9,000명에서 2014년 131만 7,000여 명으로 약 55.1% 증가했다. 중·장년층의 척추 건강을 위협하는 척추관 협착증 예방법을 알아본다.

척추관 협착증은 척추를 둘러싼 인대나 뼈에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는 질환이다. 척추관 주변의 조직이 커지면서 척추관이 좁아져 척추신경을 누를 때 통증이 나타난다. 허리 통증을 유발하는 원인 중 하나로 중·장년층이 겪는 대표적인 만성 퇴행성 척추질환에 해당한다. 척추관 협착증은 허리디스크와는 달리 허리를 구부리거나 쪼그려 앉으면 일시적으로 척추관이 넓어져 통증이 사라진다.

척추관 협착증이 발생하면 허리에서 시작해 엉덩이, 허벅지, 무릎, 발바닥까지 통증이 나타난다. 하체를 움직일 때 통증이 심해지고, 제때 치료받지 않으면 통증이 갈수록 심해져 걷기가 힘들어진다. 치료 시기를 놓치면 감각마비, 대소변 장애, 하지근력 저하 등으로 악화될 수 있어 제때 치료를 받아야 한다.

척추관 협착증 예방법으로는 걷기, 자전거 타기, 수영 등의 운동이 있다. 수영은 물의 부력 때문에 척추관절에 가해지는 신체의 무게가 줄어 몸 전체에 가해지는 무리를 줄일 수 있다. 이 외에도 허리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하면 예방에 도움이 된다. 척추관 협착증을 예방하기 위해 평소에 허리를 비틀거나 구부리는 동작은 피하고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옮길 때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신발은 굽이 너무 높거나 딱딱한 것을 피해 신는 것이 좋다. 척추관 협착증은 잘못된 자세의 누적이나 사고로 인해 주로 발병하는 척추 디스크와는 달리 노화가 주된 원인이다. 따라서 노화로 인한 퇴행성 변화가 시작하는 시기에 맞춰 정기적으로 척추 건강 검진을 받는 것도 예방에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