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류 위주의 기름진 음식을 먹는 서양식 식습관이 일반화되며 비만, 당뇨, 고혈압과 같은 만성 질환을 겪는 사람이 많다. 이러한 만성 질환은 심장 질환, 뇌 질환을 일으킬 수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러한 다양한 질환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바로 대사증후군이다.
대사증후군은 생활습관을 개선하면 예방, 치료할 수 있다./사진=헬스조선 DB
대사증후군은 나쁜 식습관, 운동 부족과 같은 생활적인 요인과 관련돼 '생활습관병'으로 불리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높으면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커진다. 인슐린은 혈액 속 포도당을 세포에 전달해 혈당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인슐린 저항성이 높으면 포도당을 세포로 잘 전달하지 못해 혈당이 높아지고 인슐린 분비가 늘어나는 등 문제가 발생한다. 인슐린 저항성은 비만과 같은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 모두 관련있다.
우리나라 사람의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다. ▷허리둘레 남성 90㎝, 여성 85㎝ 초과 ▷중성지방 150㎎/㎗ 이상 ▷HDL콜레스테롤 남성 40㎎/㎗, 여성 50㎎/㎗ 미만 ▷공복혈당 100㎎/㎗ 이상 ▷혈압 130㎜Hg/ 85㎜Hg 이상 이 기준 중 세 가지 이상에 해당하면 대사증후군으로 진단한다.
대사증후군은 '생활습관병'으로 불리는 만큼 생활 습관을 개선하면 예방, 치료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정상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다. 정상 체중을 유지함으로써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고 당뇨, 고혈압 같은 질환을 피할 수 있다. 체중을 감량할 때는 단기간에 많은 체중을 감량하려 하지 말고 일주일에 0.5~1kg 정도를 목표로 천천히 감량하는 것이 좋다. 지방, 콜레스테롤, 당분 섭취를 줄여 하루 500~1000kcal 정도 덜 섭취하는 것만으로도 체중을 감량할 수 있다. 식습관 개선뿐만 아니라 운동도 필요하다. 일주일에 3~5회 이상, 하루 30분 이상 가벼운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