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탑팀

대기 시간을 줄이기 위한 원스톱 서비스, 원칙을 지키는 진료로 무장했다

5년 사이에 51.1%나 늘어난 것이다. 중앙대병원 갑상선센터 조보연 센터장은 “갑상선은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 데 꼭 필요한 호르몬을 분비하는 기관”이라며 “환자가 계속 늘어나고 있어 집중적인 연구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런데 갑상선에 이상이 생겨 진료 한번 받으려면 절차가 너무 복잡해 환자가 지치기 쉽다.

수술은 외과에서, 약물치료는 내과에서, 방사선요오드치료는 핵의학과에서 받아야 한다. 갑상선 이상으로 인해 눈이 돌출됐다면 안과를, 목소리에 변화가 생겼다면 이비인후과를 따로 찾아야 한다. 결국 한 달 넘게 기다려 잡은 예약 날짜가 돼도 환자가 진료의뢰서를 들고 병원을 하루 종일 돌아다녀야 하는 것이다.

외래부터 수납까지 원스톱 서비스 마련
중앙대병원은 별관 2층 전체를 갑상선센터로 만들고 환자가 진료 의뢰부터 외래, 검사, 수술 및 후유증 관리, 수납까지 한 곳에서 끝낼 수 있도록 했다. 덕분에 외래부터 초음파검사, 결과 판독, 세포 검사까지는 하루 안에 끝낼 수 있다. 이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건 갑상선 전담팀이 상주하면서 의료진이 긴밀한 협진을 이뤄내고 있는 덕이다.
센터 안 진료실에 갑상선 전문 내과의, 영상의학 전문의, 외과의가 늘 있어서 외래 진료 소견을 검사실로 바로 보내 검사받게 하고, 외과의와 함께 결과를 보면서 수술을 결정하는 게 가능하다. 전담 간호사가 환자가 한번 방문했을 때 오래 기다리지 않으면서 이런 과정을 모두 처리할 수 있도록 의료진의 스케줄을 조정한다. 이비인후과, 안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환자가 검사 결과를 들으러 오는 날을 해당 진료과 전문의가 외래보는 날로 맞춰주기도 한다.
논란 없는 치료 위해 정도(正道) 지킨다

대한갑상선학회에서 내린 가이드라인을 준수하고, 검사 및 수술에 있어서 선별검사를 하는 것이다. 초음파검사는 갑상선이 커졌거나 가족력, 백혈병이 있거나 제1형 당뇨병 등 위험 질환이 있는 경우만 권한다. 검사 결과 갑상선에서 혹이 발견되면 위험 없는 혹일 뿐인 양성인지, 암 덩어리 혹인 악성인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세침흡인세포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이때도 모두 검사하는 것은 아니다. 가족력 등의 암 위험인자가 있거나 혹 크기가 1㎝ 이상인 등 악성 위험이 있을 때만 권한다. 수술도 마찬가지다. 환자와 충분한 대화를 해서 수술 여부를 결정하고, 수술 방법도 환자 의견을 적극 반영해 결정한다. 조보연 센터장은 “갑상선 검사 및 치료 중에는 의사 판단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며, “이때 과도하거나 자의적이지 않은 결정을 내리기 위해 한 달에 한 번씩 협진 컨퍼런스를 열어 치료의 큰 틀을 세워놓는다”고 말했다.
* 갑상선에 대해서 알아보세요

갑상선이란?
침을 삼키거나 물을 마실 때 목에 오르락내리락하는 기관이 보이는데, 그게 갑상선이다. 전체 길이는 4~5㎝, 넓이는 1~2㎝, 두께는 2~3㎝ 정도며 무게는 20g 정도 된다. 날개를 펼친 나비처럼 생겼으며, 갑상선호르몬을 분비한다.
갑상선 양 옆에는 큰 동맥과 정맥이 있으며 목으로 지나가는 중요 신경이 얽혀 있다. 갑상선은 부드럽고 푹신한 이불 같은 두 개의 근육에 싸여 있어서 겉으로 윤곽이 드러나지 않고 잘 만져지지도 않는다.
갑상선호르몬이란?
신진대사를 조절하고 장작처럼 몸에 열을 내는 역할을 한다. 갑상선에서 생성돼 혈관을 타고 온몸으로 퍼지면서 몸속 모든 기관의 기능을 조율한다. 섭취한 영양소를 에너지로 바꾸고,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총 대사량을 늘리고 체내의 불필요한 물질을 배출하는 데 일조한다.
갑상선호르몬은 뇌하수체에서 만들어지는 갑상선자극호르몬(TSH)에 의해 일정량이 유지된다. 갑상선자극호르몬은 자동온도조절장치 같아서 갑상선호르몬이 부족하다고 여겨지면 갑상선에 호르몬을 만들라고 신호를 보낸다. 반면 호르몬이 충분하면 뇌에 ‘갑상선을 더 이상 자극하지 말라’는 신호를 보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