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않고 혼자 사는 사람, ‘치매’ 잘 안 걸려… 이유는?

입력 2025.04.07 18:55
사람
사진=클립아트코리아
결혼하지 않고 혼자 사는 것이 치매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연구팀은 50~04세 성인 2만4107명을 대상으로 결혼 여부와 인지장애의 연관성을 알아봤다. 참가자들은 매년 인지 상태에 대한 신경 심리학적 검사를 받았고 임상의의 평가도 받았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의 건강을 18년간 추적 관찰했다.

연구 결과, 배우자를 잃었거나(사별), 이혼했거나, 한 번도 결혼하지 않은 사람들이 기혼자보다 치매 발병 위험이 상당히 낮았다. 미혼자는 기혼자보다 치매 발병 위험이 40% 낮았다.

이미 경미한 인지 장애를 겪고 있던 참가자 중 미혼 상태를 유지한 사람은 치매로 이어질 가능성이 낮았고, 평생 독신으로 산 사람들은 모든 경우 중에서 치매 위험이 가장 낮았다. 결혼하지 않은 사람은 결혼한 사람보다 친구 및 이웃 등과 사회적 교류가 활발하고 더 자립적이며, 이런 것들이 인지 능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한 결혼이 구조적으로 혜택을 줄 수는 있지만, 나이 들어 배우자를 돌보는 부담, 배우자의 질병, 또는 갈등이 지속되는 관계는 오히려 인지 회복력을 약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저자 셀린 카라코세 박사는 “결혼여부 자체보다 사회적 관계의 질, 심리적 안정감, 자율성을 충분히 누리는 지 여부가 더욱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만성 스트레스는 뇌 신경세포를 손상시키고 사멸을 유도해 치매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연세대 예방의학교실 장성인 교수팀 연구에 따르면 스트레스 강도가 높을수록 치매 위험도 비례적으로 증가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환자는 일반인에 비해 치매 발병 위험이 1.78배 높았으며, 적응장애 환자는 1.32배, 급성 스트레스 환자는 1.20배 높았다.

이 연구는 미국 알츠하이머병 협회(Alzheimer's Association) 학술지 '알츠하이머병과 치매'(Alzheimer's and Dementia)에 최근 게재됐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섎즺怨� �댁뒪 �ъ뒪耳��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