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유 수유는 산모와 아기 모두에게 중요하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생후 6개월간 완전 모유 수유를 권장하고, 이후 이유식과 모유 수유를 병행하기를 권한다. 모유 수유 자체가 산모의 자궁 수축과 체중 감소를 돕고, 아기에게는 언어·사회적 발달과 운동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모든 산모가 모유 수유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건 아니다. 모유량이 너무 적거나 반대로 너무 많아 고민인 산모들이 적지 않다.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먼저 모유량이 부족할 때다. 가천대 길병원 소아청소년과 류일 교수는 “모유는 아이가 먹을수록 양이 늘어난다”며 “아이의 먹는 양에 따라 분유를 병행할 수 있지만, 인내심을 갖고 계속 젖을 물리면 결국에는 아이가 먹는 양에 맞게 모유량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일산차병원 산부인과 김의혁 수석과장 역시 “유두를 자극하면 모유량이 느는데, 유두를 자극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 젖을 계속 아이에게 물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신생아 때부터 분유를 먹이기보다 계속 젖을 물리는 게 모유량을 늘리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그래도 부족하다면 산부인과에서 모유량을 늘리는 약을 처방받아 복용할 수 있다.
유방 마사지를 해도 혈액순환이 촉진돼 모유량이 증가한다. 마사지는 수유하기 직전에 하는 것이 좋다. 수시로 등을 마사지하는 것도 모유량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된다. 등을 따라 겨드랑이까지 림프순환 마사지를 하면 좋다.
반대로 아이가 먹는 양에 비해 모유량이 너무 많으면 젖몸살로 고생할 수 있다. 젖몸살이란 유방에 모유가 과도하게 쌓여 통증이나 염증(유선염)이 생기는 것이다. 이에 대해 김의혁 교수는 “마사지를 하면서 모유를 충분히 빼내야 한다”며 “열이 나거나 염증이 심할 경우 항생제를 사용해야 하고, 유두에 염증이 생기면 연고를 바를 수도 있다”고 했다. 이어 “모유를 먹이고 난 뒤에는 유두 주변을 잘 닦고 말려야 한다”고 했다. 모유가 다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성급히 브래지어를 착용하면 염증이 생기기 쉽다.
류일 교수는 “젖몸살과 유두 통증은 모유 수유 시 자세를 올바르게 하면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고 했다. 모유 수유할 때 등을 뒤로 기대거나 몸을 지나치게 아기 쪽으로 기울이지 않도록 한다. 무릎 위에 베개를 두고 아기를 지탱해 유방 높이로 올린다. 아기의 몸 전체를 엄마 몸 쪽으로 돌려 완전히 밀착시켜야 한다. 목이 비틀린 상태로 젖을 먹이면 삼키는 데 힘이 들어 빠는 방식에 변화가 생기면서 유두에 상처를 낼 수 있다. 아기의 귀, 어깨, 엉덩이는 일직선이 되도록 한다. 아기의 목은 약간 뒤로 젖혀져야 젖을 빨고 삼키기가 쉽다.
한편, 모유 수유 중 산모의 식단은 아기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모유 수유를 하는 산모는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닭고기, 두부, 달걀) ▲칼슘이 많은 음식(우유, 치즈) ▲철분이 풍부한 음식(시금치, 콩류)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음식(연어, 고등어, 참치)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꾸준히 섭취하는 것이 좋다. 카페인 함량이 높은 음료, 알코올, 고지방 식품, 가공식품은 피하도록 한다.
모든 산모가 모유 수유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건 아니다. 모유량이 너무 적거나 반대로 너무 많아 고민인 산모들이 적지 않다.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
먼저 모유량이 부족할 때다. 가천대 길병원 소아청소년과 류일 교수는 “모유는 아이가 먹을수록 양이 늘어난다”며 “아이의 먹는 양에 따라 분유를 병행할 수 있지만, 인내심을 갖고 계속 젖을 물리면 결국에는 아이가 먹는 양에 맞게 모유량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일산차병원 산부인과 김의혁 수석과장 역시 “유두를 자극하면 모유량이 느는데, 유두를 자극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 젖을 계속 아이에게 물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신생아 때부터 분유를 먹이기보다 계속 젖을 물리는 게 모유량을 늘리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그래도 부족하다면 산부인과에서 모유량을 늘리는 약을 처방받아 복용할 수 있다.
유방 마사지를 해도 혈액순환이 촉진돼 모유량이 증가한다. 마사지는 수유하기 직전에 하는 것이 좋다. 수시로 등을 마사지하는 것도 모유량을 늘리는 데 도움이 된다. 등을 따라 겨드랑이까지 림프순환 마사지를 하면 좋다.
반대로 아이가 먹는 양에 비해 모유량이 너무 많으면 젖몸살로 고생할 수 있다. 젖몸살이란 유방에 모유가 과도하게 쌓여 통증이나 염증(유선염)이 생기는 것이다. 이에 대해 김의혁 교수는 “마사지를 하면서 모유를 충분히 빼내야 한다”며 “열이 나거나 염증이 심할 경우 항생제를 사용해야 하고, 유두에 염증이 생기면 연고를 바를 수도 있다”고 했다. 이어 “모유를 먹이고 난 뒤에는 유두 주변을 잘 닦고 말려야 한다”고 했다. 모유가 다 마르지 않은 상태에서 성급히 브래지어를 착용하면 염증이 생기기 쉽다.
류일 교수는 “젖몸살과 유두 통증은 모유 수유 시 자세를 올바르게 하면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다”고 했다. 모유 수유할 때 등을 뒤로 기대거나 몸을 지나치게 아기 쪽으로 기울이지 않도록 한다. 무릎 위에 베개를 두고 아기를 지탱해 유방 높이로 올린다. 아기의 몸 전체를 엄마 몸 쪽으로 돌려 완전히 밀착시켜야 한다. 목이 비틀린 상태로 젖을 먹이면 삼키는 데 힘이 들어 빠는 방식에 변화가 생기면서 유두에 상처를 낼 수 있다. 아기의 귀, 어깨, 엉덩이는 일직선이 되도록 한다. 아기의 목은 약간 뒤로 젖혀져야 젖을 빨고 삼키기가 쉽다.
한편, 모유 수유 중 산모의 식단은 아기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모유 수유를 하는 산모는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닭고기, 두부, 달걀) ▲칼슘이 많은 음식(우유, 치즈) ▲철분이 풍부한 음식(시금치, 콩류)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음식(연어, 고등어, 참치)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꾸준히 섭취하는 것이 좋다. 카페인 함량이 높은 음료, 알코올, 고지방 식품, 가공식품은 피하도록 한다.
�섎즺怨� �댁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