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N 24시간 내 등록된 기사 - 119누적된 총 기사 -366,795

“남녀별 근육 키우기 전략 다르다” 연구 결과

근감소증 없는 남성, 근육 1kg 늘면 심질환 41%↓여성, 체중 1kg 증가 시 오히려 고지혈증 21%↓근감소증 생기면 근육 증가해도 예방 효과 없어

언론사

입력 : 2025.02.24 18:41

출처:의사신문
출처:의사신문

노년에 근육을 키우는 것이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남성과 여성에게 효과적인 방식이 다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남성은 근육량을 늘리고 복부 비만을 줄이는 것이 유리하고, 여성은 지방과 근육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분석됐다.

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본부 박준희 교수와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원장원 교수 연구팀은 70세 이상 84세 이하 노인을 대상으로 근육량 변화가 심혈관질환과 대사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 국제 학술지 '마투리타스(Maturita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한국노인노쇠코호트 데이터를 활용해 1634명의 노인 중 근감소증이 있는 353명을 추리고, 나이와 성별이 같은 근감소증이 없는 353명을 짝지어 2년 동안 체성분 변화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근감소증이 없는 남성 노인은 팔다리 근육량이 1kg 증가할 때마다 심혈관질환 위험이 41% 낮아졌으며, 고지혈증 위험도 28%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허리둘레가 1cm 늘어나면 고혈압 위험이 32% 증가했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남성 노인의 경우 근육을 키우면서 동시에 복부 비만을 줄이는 것이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반면 여성 노인의 경우 근육량 증가가 심혈관질환 예방에 뚜렷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체중이 1kg 증가할 때 고지혈증 위험이 21% 낮아지는 '비만의 역설'이 나타났다. 연구팀은 여성의 경우 체중 증가가 반드시 건강에 해로운 것은 아니며, 근육 내 지방 축적을 방지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출처:의사신문
출처:의사신문

근감소증이 이미 진행된 노인의 경우 남녀 모두 근육량을 늘려도 심혈관질환 예방 효과가 없었다. 특히 근감소증이 있는 여성은 근육량만 늘릴 경우 고지혈증 위험이 3배 높아졌다. 연구팀은 근육 내 지방이 함께 증가해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연구팀은 근감소증이 생기기 전에 꾸준한 운동으로 근육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남성은 근력 운동을 통해 근육량을 늘리고 복부 비만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성은 근육량 증가보다는 유산소 운동을 병행해 근육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근감소증이 진행된 후에는 근육을 키우는 것만으로는 질환 예방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며 "건강한 노년을 위해 평소 꾸준한 운동과 균형 잡힌 영양 섭취로 '근육적금'을 쌓아야 한다"고 밝혔다.


의사신문 남궁예슬 기자 asdzxc146@nate.com

  • * Copyright ⓒ 의사신문 All Rights Reserved.
  • * 본 기사의 내용은 의사신문 언론사에서 제공한 기사이며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연락부탁드립니다)


    헬스케어N 사이트의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사 또는 글쓴이에 있으며, 헬스조선 헬스케어N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헬스조선,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21길 30 조선일보사 업무동 | 문의 02-724-7600 | FAX 02-722-9339 Copyright HEALTH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