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조선 전문병원 명의를 만나다, <회전근개파열>편 바른세상병원 여우진 원장
전문병원의 우수한 의료진을 만나 질환에 대한 정보와 치료법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 코너, 이번 주제는 회전근개파열이다. 바른세상병원 여우진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을 만나 대표적인 어깨 질환인 회전근개파열의 특징과 수술, 비수술의 선택 기준에 대해 자세히 들어본다.
회전근개는 몸통에 있는 견갑골과 어깨에 있는 상완골을 연결하는 힘줄이다. 극상근, 견갑하근, 극하근, 소원근 총 4개의 힘줄로 이루어져 있고 어깨관절의 회전 운동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근개파열은 회전근개 힘줄이 노화 또는 과사용으로 인해 파열된 경우를 말한다. 대표적인 증상은 통증이다. 주로 밤에 통증이 심해지고 누워 있을 때 아픈 경우가 많다. 팔을 90도 정도 올릴 때나 멀리 뻗어서 무언가를 잡을 때 통증이 있다면 회전근개파열을 의심할 수 있다.
회전근개파열은 환자 상태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진다. 파열의 범위에 따라 부분 파열과 완전 파열로 나뉜다. 부분 파열된 경우 약물치료, 주사치료, 재활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시도할 수 있다. 완전 파열이 됐다면 자연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관절 내시경을 이용해 봉합해주는 수술을 시행한다. 쉽게 말해 끊어진 힘줄을 뼈에 다시 붙여주는 수술이다. 뼈에 나사못을 박아 실로 연결해 힘줄을 묶어 고정해준다.
많은 환자들이 수술을 꼭 해야 하는 지 묻는다. 힘줄이 완전 파열되었다면 수술이 유일한 치료법이다. 수술을 해야 하는 상태인데 방치하면 힘줄의 파열 범위가 계속해서 넓어진다. 또한 힘줄에 연결된 근육이 퇴축되면서 지방 변성이 일어날 수 있다. 힘줄 자체도 얇아지기 때문에 봉합이 어렵거나 수술 후 재발 가능성이 높아진다. 봉합이 불가능한 경우는 인공 관절 또는 타가 조직 이식술 등을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치료 시기에 따라 치료 방법과 결과가 다르므로 빠른 진단과 자신에게 맞는 치료법을 결정하는 게 중요하다.
회전근개파열 수술을 받았다면 어깨 힘줄이 잘 붙을 때까지 한 달간은 보조기 착용이 필요하다. 힘줄이 붙으면 관절 범위 회복을 위한 재활 치료를 시작한다. 수술 후 재활 치료는 병원에서 받는 게 좋다. 통증을 수반하므로 혼자 하기 어렵다. 보조기 착용 기간 동안 어깨 관절을 거의 움직이지 않으므로 유착이 발생하는데, 이를 풀어주기 위한 어깨 스트레칭 등의 재활 치료가 필요하다.
헬스조선 전문병원 명의를 만나다, <회전근개파열>편 영상은 헬스조선 유튜브 채널에서 시청할 수 있다.
회전근개는 몸통에 있는 견갑골과 어깨에 있는 상완골을 연결하는 힘줄이다. 극상근, 견갑하근, 극하근, 소원근 총 4개의 힘줄로 이루어져 있고 어깨관절의 회전 운동과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근개파열은 회전근개 힘줄이 노화 또는 과사용으로 인해 파열된 경우를 말한다. 대표적인 증상은 통증이다. 주로 밤에 통증이 심해지고 누워 있을 때 아픈 경우가 많다. 팔을 90도 정도 올릴 때나 멀리 뻗어서 무언가를 잡을 때 통증이 있다면 회전근개파열을 의심할 수 있다.
회전근개파열은 환자 상태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진다. 파열의 범위에 따라 부분 파열과 완전 파열로 나뉜다. 부분 파열된 경우 약물치료, 주사치료, 재활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시도할 수 있다. 완전 파열이 됐다면 자연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관절 내시경을 이용해 봉합해주는 수술을 시행한다. 쉽게 말해 끊어진 힘줄을 뼈에 다시 붙여주는 수술이다. 뼈에 나사못을 박아 실로 연결해 힘줄을 묶어 고정해준다.
많은 환자들이 수술을 꼭 해야 하는 지 묻는다. 힘줄이 완전 파열되었다면 수술이 유일한 치료법이다. 수술을 해야 하는 상태인데 방치하면 힘줄의 파열 범위가 계속해서 넓어진다. 또한 힘줄에 연결된 근육이 퇴축되면서 지방 변성이 일어날 수 있다. 힘줄 자체도 얇아지기 때문에 봉합이 어렵거나 수술 후 재발 가능성이 높아진다. 봉합이 불가능한 경우는 인공 관절 또는 타가 조직 이식술 등을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치료 시기에 따라 치료 방법과 결과가 다르므로 빠른 진단과 자신에게 맞는 치료법을 결정하는 게 중요하다.
회전근개파열 수술을 받았다면 어깨 힘줄이 잘 붙을 때까지 한 달간은 보조기 착용이 필요하다. 힘줄이 붙으면 관절 범위 회복을 위한 재활 치료를 시작한다. 수술 후 재활 치료는 병원에서 받는 게 좋다. 통증을 수반하므로 혼자 하기 어렵다. 보조기 착용 기간 동안 어깨 관절을 거의 움직이지 않으므로 유착이 발생하는데, 이를 풀어주기 위한 어깨 스트레칭 등의 재활 치료가 필요하다.
헬스조선 전문병원 명의를 만나다, <회전근개파열>편 영상은 헬스조선 유튜브 채널에서 시청할 수 있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