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부 위에 생긴 검버섯이 눈에 거슬릴 때가 많다. '죽음의 꽃(Age spot)'이라고도 불리는 검버섯은 주로 40대 이상에서 발생한다. 검버섯은 기미와 다르게 시간이 지날수록 커지고 검은색·흑갈색이 뚜렷해진다. 일상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아니지만 보기 좋지 않아 심리적 위축을 유발하기도 한다. 자꾸만 가리게 되는 검버섯, 어떻게 없애야 할까?
검버섯은 피부 종양의 일종이다. 검버섯이 생기는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피부노화'와 '자외선 노출'이 주된 원인으로 거론된다. 연세스타피부과 강남점 김영구 원장은 "검버섯은 주로 얼굴, 팔, 손등 등 자외선 노출 부위에 생긴다"고 말했다. 나이가 들면 멜라닌 세포 수와 기능이 떨어져 피부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어렵다. 또 피부 면역기능이 떨어지는 것도 영향을 미친다.
검버섯은 점과 비슷하게 레이저로 제거할 수 있다. 김영구 원장은 "검버섯 제거를 위해 레이저 치료를 가장 많이 하는데 만족도가 높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검버섯 두께, 색 등에 따라 레이저를 달리 사용한다"며 "검버섯 크기가 크면 멜라닌 색소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레이저를 사용한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냉동요법이나 전기소작법 등 치료법이 다양해 제거를 원한다면 전문가와 상의해서 결정하면 된다. 다만 검버섯 제거를 위해 언제든 레이저 치료를 받아도 되는 건 아니다. 김 원장은 "면역체계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할 때는 레이저 치료를 받아선 안 된다"며 "루푸스 등 자가면역질환이 있다면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때 레이저 치료를 받으면 면역체계 이상으로 항체가 다른 장기를 공격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치료를 받은 후엔 피부를 건드리지 않는 게 좋다. 김 원장은 "검버섯은 병변이 두꺼워 기미와 달리 딱지가 생기게 해야 좋다"며 "딱지가 저절로 떨어지기 전에 억지로 잡아떼거나 얼굴 피부에 과도한 힘을 주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딱지가 일찍 떨어지면 상처 회복이 지연돼 붉은 기가 오래 가고, 심하면 더 진해질 수 있다. 대부분 시술 부위에 재생 테이프를 붙여주는데 물이 들어가지 않게 조심해서 세안해야 한다.
자외선을 피하면 검버섯도 어느 정도 예방이 가능하다.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 선크림을 반드시 발라야 한다. 김영구 원장은 "실내에선 SPF(Sun Protection Factor·자외선차단지수) 15 이상, 등산 등 야외 활동 시에는 SPF 30 이상, 햇볕이 센 해변에 나간다면 SPF 50 이상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PA(Protection grade of UVA)++ 이상인 제품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가 많을수록 자외선A(파장이 400~315nm인 자외선) 차단 효과가 좋다. 노화를 막기 위해 항산화제가 많이 함유된 블루베리 등 채소, 과일을 자주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한편 검버섯은 다른 질환의 예후일 수도 있어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검버섯이 없던 사람이 발진 형태로 한꺼번에 많이 생기면 ▲위암 ▲폐암 ▲대장암 ▲혈액암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이를 '레제 트렛트 징후(Leser-Trélat syndrome)'라고 부른다. 검버섯 크기가 균일하지 않고 비정형적인 것도 문제가 있다. 김 원장은 "검버섯 크기가 갑자기 커지거나, 모양이 동그랗게 균일하지 않고 톱니바퀴처럼 빼쭉빼쭉하다면 병원에 가 세부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검버섯은 피부 종양의 일종이다. 검버섯이 생기는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피부노화'와 '자외선 노출'이 주된 원인으로 거론된다. 연세스타피부과 강남점 김영구 원장은 "검버섯은 주로 얼굴, 팔, 손등 등 자외선 노출 부위에 생긴다"고 말했다. 나이가 들면 멜라닌 세포 수와 기능이 떨어져 피부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기 어렵다. 또 피부 면역기능이 떨어지는 것도 영향을 미친다.
검버섯은 점과 비슷하게 레이저로 제거할 수 있다. 김영구 원장은 "검버섯 제거를 위해 레이저 치료를 가장 많이 하는데 만족도가 높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검버섯 두께, 색 등에 따라 레이저를 달리 사용한다"며 "검버섯 크기가 크면 멜라닌 색소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레이저를 사용한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냉동요법이나 전기소작법 등 치료법이 다양해 제거를 원한다면 전문가와 상의해서 결정하면 된다. 다만 검버섯 제거를 위해 언제든 레이저 치료를 받아도 되는 건 아니다. 김 원장은 "면역체계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할 때는 레이저 치료를 받아선 안 된다"며 "루푸스 등 자가면역질환이 있다면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때 레이저 치료를 받으면 면역체계 이상으로 항체가 다른 장기를 공격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치료를 받은 후엔 피부를 건드리지 않는 게 좋다. 김 원장은 "검버섯은 병변이 두꺼워 기미와 달리 딱지가 생기게 해야 좋다"며 "딱지가 저절로 떨어지기 전에 억지로 잡아떼거나 얼굴 피부에 과도한 힘을 주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딱지가 일찍 떨어지면 상처 회복이 지연돼 붉은 기가 오래 가고, 심하면 더 진해질 수 있다. 대부분 시술 부위에 재생 테이프를 붙여주는데 물이 들어가지 않게 조심해서 세안해야 한다.
자외선을 피하면 검버섯도 어느 정도 예방이 가능하다.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 선크림을 반드시 발라야 한다. 김영구 원장은 "실내에선 SPF(Sun Protection Factor·자외선차단지수) 15 이상, 등산 등 야외 활동 시에는 SPF 30 이상, 햇볕이 센 해변에 나간다면 SPF 50 이상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PA(Protection grade of UVA)++ 이상인 제품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가 많을수록 자외선A(파장이 400~315nm인 자외선) 차단 효과가 좋다. 노화를 막기 위해 항산화제가 많이 함유된 블루베리 등 채소, 과일을 자주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한편 검버섯은 다른 질환의 예후일 수도 있어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검버섯이 없던 사람이 발진 형태로 한꺼번에 많이 생기면 ▲위암 ▲폐암 ▲대장암 ▲혈액암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이를 '레제 트렛트 징후(Leser-Trélat syndrome)'라고 부른다. 검버섯 크기가 균일하지 않고 비정형적인 것도 문제가 있다. 김 원장은 "검버섯 크기가 갑자기 커지거나, 모양이 동그랗게 균일하지 않고 톱니바퀴처럼 빼쭉빼쭉하다면 병원에 가 세부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섎즺怨� �댁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