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텃밭가꾸기’가 암 위험을 줄이고 정신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콜로라도대 볼더캠퍼스 연구팀은 텃밭가꾸기가 암과 정신건강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봄 서리가 내린 직후 덴버 지역에 거주중인 성인 291명(평균 연령 41세)을 모집해 절반은 텃밭가꾸기 그룹에, 나머지는 대기 그룹에 배정했다. 그다음 텃밭가꾸기 그룹에 속한 참가자들에게 원예 과정에 대한 교육을 제공한 뒤 매주 텃밭을 가꾸도록 지시했지만 대기 그룹에겐 아무것도 요구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의 영양 섭취 및 신체 활동 정도, 정신 건강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활동 모니터링 기기를 착용하게 하고 정기적인 설문조사도 실시했다.
가을 무렵, 연구팀이 참가자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텃밭가꾸기를 한 그룹은 대기 중인 그룹에 비해 섬유질을 약 7% 더 많이 섭취(하루 평균 1.4g)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섬유질이 면역 반응을 비롯해 장내 미생물, 음식물 대사 등에 영향을 끼치고 결국 당뇨병과 특정 암 발병과도 상관관계가 있다고 강조했다.
텃밭가꾸기 그룹은 대기 그룹에 비해 주당 신체활동도 평균 42분 더 많았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성인의 경우 주당 150분 이상 신체활동을 해야 하다고 권고하지만 미국 인구의 4분의 1만이 이를 지키고 있다. 연구팀은 매주 텃밭가꾸기에 2~3회만 참여해도 신체활동의 28%를 충족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텃밭가꾸기 그룹은 대기 그룹에 비해 스트레스와 불안 수준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스트레스나 불안의 정도가 처음부터 컸던 사람일수록 감소폭도 컸다.
연구의 저자 질 리트 박사는 “우리 연구 결과는 텃밭가꾸기가 암과 각종 만성병, 정신질환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연구 결과 ‘란셋 지구보건(The Lancet Planetary Health)’에 최근 게재됐다.
미국 콜로라도대 볼더캠퍼스 연구팀은 텃밭가꾸기가 암과 정신건강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봄 서리가 내린 직후 덴버 지역에 거주중인 성인 291명(평균 연령 41세)을 모집해 절반은 텃밭가꾸기 그룹에, 나머지는 대기 그룹에 배정했다. 그다음 텃밭가꾸기 그룹에 속한 참가자들에게 원예 과정에 대한 교육을 제공한 뒤 매주 텃밭을 가꾸도록 지시했지만 대기 그룹에겐 아무것도 요구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의 영양 섭취 및 신체 활동 정도, 정신 건강 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활동 모니터링 기기를 착용하게 하고 정기적인 설문조사도 실시했다.
가을 무렵, 연구팀이 참가자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텃밭가꾸기를 한 그룹은 대기 중인 그룹에 비해 섬유질을 약 7% 더 많이 섭취(하루 평균 1.4g)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섬유질이 면역 반응을 비롯해 장내 미생물, 음식물 대사 등에 영향을 끼치고 결국 당뇨병과 특정 암 발병과도 상관관계가 있다고 강조했다.
텃밭가꾸기 그룹은 대기 그룹에 비해 주당 신체활동도 평균 42분 더 많았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성인의 경우 주당 150분 이상 신체활동을 해야 하다고 권고하지만 미국 인구의 4분의 1만이 이를 지키고 있다. 연구팀은 매주 텃밭가꾸기에 2~3회만 참여해도 신체활동의 28%를 충족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텃밭가꾸기 그룹은 대기 그룹에 비해 스트레스와 불안 수준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스트레스나 불안의 정도가 처음부터 컸던 사람일수록 감소폭도 컸다.
연구의 저자 질 리트 박사는 “우리 연구 결과는 텃밭가꾸기가 암과 각종 만성병, 정신질환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연구 결과 ‘란셋 지구보건(The Lancet Planetary Health)’에 최근 게재됐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