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년기에 친구와 함께 자주 웃는 게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본 나고야대 연구진은 65세 이상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요인을 조사한 자료 '일본 노년학 평가연구'(Japan Gerontological Evaluation Study)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 중 신체·인지적으로 독립적인 참가자 1만2571명의 데이터와 이들이 작성한 자신의 웃음 습관에 대해 설문조사 내용을 비교·분석했다. 웃음 습관은 ▲웃는 상황의 유형 ▲다른 사람과 함께 웃는 상황의 횟수 ▲함께 웃는 사람이 누구인지, 세 가지 관점에서 평가했다.
그리고 이들을 평균 6.3년 추적 관찰한 결과, 자주 다른 사람과 함께 웃는 참자가들에서 기능장애 위험이 30%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른 사람과 함께 웃는 상황·횟수가 많을수록 기능장애 위험이 줄어들었다. 여기서 기능장애란 정상적인 생체의 기능이 장애를 받는 것으로, 주로 신경계 기능에 이상이 생긴 것을 뜻한다.
또한 흥미롭게도 친구와 함께 웃는 사람은 배우자, 자녀, 손주들과 함께 웃는 사람보다 기능장애 위험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진행한 타마다 마유다 박사는 "친구와 함께 웃으면 스트레스 해소, 면역기능 향상, 사회적 유대감 향상 등 건강상 이점을 누릴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예방의학(Preventive Medicine)'에 최근 게재됐다.
�섎즺怨� �댁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