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 매개 바이러스라 '일상 감염' 가능성 없어... '차별'은 여전

간암의 원인을 비율로 따져보면 만성 B형 간염이 60%다.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침투한 간세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간 손상이 발생한다. B형 간염은 급성과 만성 모두 나타나는데 급성 간염이 6개월 이상 지속되면 만성이라고 볼 수 있다. 바이러스를 완벽하게 제거하는 치료제가 없으므로 완치는 어렵다. 우리나라는 1980년대까지만 해도 B형 간염 환자가 많았다. 그러나 백신과 산모-태아 감염의 고리를 끊을 수 있는 치료 옵션들이 늘어난 덕분에 환자 수는 줄었다. 단 B형 간염에 대한 인식은 과거에서 벗어나지 못한 듯하다.
◇채용, 시설입소 인권위 진정 사례 지속, “산후조리원에서도 차별”
A씨는 지난해 10월, 한 장애인생활시설 채용 건강검진에서 불합격했다.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였기 때문. 근무에 문제가 없다는 의사 소견에도 불구하고 채용을 거부당해 인권위에 진정을 제기했다. 그리고 인권위는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일반적 공동생활로는 거의 감염되지 않는다’는 대한간학회 자문을 근거로 해당 장애인생활시설에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권고했다. 지난달 19일, 권고를 수용한 장애인생활시설은 재발 방치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차별 사례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인권위 진정 사례를 살펴보면 B형 간염 환자들은 기숙사나 요양원에서도 거부당했다. 간환우협회 민경윤 회장은 “인권위 진정 사례는 일부일 뿐”이라며 “환우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산후조리원 같은 의료기관에서도 격리 조치가 취해지는 듯하다”고 말했다. 또 “가장 힘든 건 대인관계인데 보유사실을 밝히면 식사 자리부터 차별 대우가 시작된다”며 “이로 인해 감염 사실을 아예 숨기는 환우들도 많다”고 말했다.
◇혈액 공유하는 게 아니라면 감염 확률 매우 낮아
B형 간염은 바이러스는 혈액 매개 감염병이다. 신체 접촉이나 타액 등으로 감염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순천향대 서울병원 소화기내과 장재영 교수(대한간학회 정책이사)는 “예컨대 침의 바이러스 농도는 혈액보다 낮고 전염성도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식사와 같은 일상생활에서 전염될 확률은 매우 낮다”며 “단, 환자의 혈액이 다른 사람의 상처로 들어가는 경우엔 감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설사 감염된다고 해도 B형 간염이 만성화될 확률은 낮다. 최초 감염 후 만성화되는 비율은 감염 시 나이에 따라 다른데 소아기에는 80% 이상이 만성화된다. 반면 성인은 95% 이상이 자연 치유되고 5% 미만만 만성화된다.
술잔을 돌려먹거나 그릇만 공유해도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다는 건 잘못된 상식이다.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권정현 교수(대한간학회 재무이사)는 “현재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주요 감염 통로는 산모와 태아 간 수직 감염”이라며 “간혹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이뤄지는 눈썹 문신, 타투, 부항처럼 점막에 상처를 내는 행위가 감염 통로가 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술잔 돌리면 감염? A형 간염과 헷갈린 캠페인 때문
B형 간염에 대한 잘못된 인식은 1980년대 정부 캠페인으로부터 시작됐다. 당시 보건당국은 경구-분변 바이러스인 A형 간염과 혈액 매개 바이러스인 B형 간염을 구분하지 않고 캠페인을 펼쳤다. 그 결과, A형 간염 예방법인 ‘술잔 돌려먹지 말기’가 B형 간염 예방법으로 통하게 됐다. B형 간염 바이러스가 타액으로 감염된다는 잘못된 상식이 퍼지게 된 것이다. 약 40년 전의 일이지만 여전히 사실로 아는 사람이 많다.
실제 2016년, 대한간학회가 일반인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 36%는 B형 간염 주요 감염 통로로 ‘찌개나 국을 따로 덜지 않고 한 냄비에 먹는 습관’을 꼽았다. 28%는 ‘술잔 돌리기 문화’, 25%는 ‘재채기, 기침 등을 통한 타액’을 꼽았다. 학회는 이를 이유로 B형 간염의 전염 경로에 대해서 부정확한 인식이 지배적이라고 평했다.
◇새로운 B형 간염 환자 적지만, 40~60대는 유병률 여전…
새로운 B형 간염 환자들은 거의 없다. B형 간염의 만성화 척도는 바이러스 표면의 단백질, 표면항원이 있는지로 진단한다. 1982년도 한국인의 표면항원 양성률이 8.6%였다면 가장 최근 조사인 2019년에는 2.0%로 줄었다. 10대의 표면항원 양성률은 0.0%까지 낮아지기도 했다. 1995년, B형 간염 예방 백신이 국가예방접종사업으로 선정된 결과다. 산모가 보유자여도 면역글로불린주사나 항바이러스제로 감염 고리를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환자 수는 많다. 40대, 50대, 60대의 표면항원 양성률은 각각 3.4%, 3.9%, 3.5%다. 약 126만명이 만성 B형 간염 환자수로 추정된다. 학계에서는 백신 접종을 권고하기 시작한 1992년 이전 출생자들은 여전히 유병률이 높다고 본다. B형 간염은 완치가 안 되므로 이러한 추이는 30여 년 이상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민경윤 회장은 사후 조치 외에 질환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B형 간염 환자 차별을 막기 위해 여러 제도적 보완이 이뤄졌지만 결국 차별은 잘못알고 있는 사람들에 의해 발생한다”며 “질환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해외 수준에 맞는 급여기준 변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채용, 시설입소 인권위 진정 사례 지속, “산후조리원에서도 차별”
A씨는 지난해 10월, 한 장애인생활시설 채용 건강검진에서 불합격했다.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였기 때문. 근무에 문제가 없다는 의사 소견에도 불구하고 채용을 거부당해 인권위에 진정을 제기했다. 그리고 인권위는 ‘B형 간염 바이러스가 일반적 공동생활로는 거의 감염되지 않는다’는 대한간학회 자문을 근거로 해당 장애인생활시설에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권고했다. 지난달 19일, 권고를 수용한 장애인생활시설은 재발 방치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차별 사례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인권위 진정 사례를 살펴보면 B형 간염 환자들은 기숙사나 요양원에서도 거부당했다. 간환우협회 민경윤 회장은 “인권위 진정 사례는 일부일 뿐”이라며 “환우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산후조리원 같은 의료기관에서도 격리 조치가 취해지는 듯하다”고 말했다. 또 “가장 힘든 건 대인관계인데 보유사실을 밝히면 식사 자리부터 차별 대우가 시작된다”며 “이로 인해 감염 사실을 아예 숨기는 환우들도 많다”고 말했다.
◇혈액 공유하는 게 아니라면 감염 확률 매우 낮아
B형 간염은 바이러스는 혈액 매개 감염병이다. 신체 접촉이나 타액 등으로 감염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순천향대 서울병원 소화기내과 장재영 교수(대한간학회 정책이사)는 “예컨대 침의 바이러스 농도는 혈액보다 낮고 전염성도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식사와 같은 일상생활에서 전염될 확률은 매우 낮다”며 “단, 환자의 혈액이 다른 사람의 상처로 들어가는 경우엔 감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설사 감염된다고 해도 B형 간염이 만성화될 확률은 낮다. 최초 감염 후 만성화되는 비율은 감염 시 나이에 따라 다른데 소아기에는 80% 이상이 만성화된다. 반면 성인은 95% 이상이 자연 치유되고 5% 미만만 만성화된다.
술잔을 돌려먹거나 그릇만 공유해도 B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다는 건 잘못된 상식이다.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권정현 교수(대한간학회 재무이사)는 “현재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주요 감염 통로는 산모와 태아 간 수직 감염”이라며 “간혹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이뤄지는 눈썹 문신, 타투, 부항처럼 점막에 상처를 내는 행위가 감염 통로가 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술잔 돌리면 감염? A형 간염과 헷갈린 캠페인 때문
B형 간염에 대한 잘못된 인식은 1980년대 정부 캠페인으로부터 시작됐다. 당시 보건당국은 경구-분변 바이러스인 A형 간염과 혈액 매개 바이러스인 B형 간염을 구분하지 않고 캠페인을 펼쳤다. 그 결과, A형 간염 예방법인 ‘술잔 돌려먹지 말기’가 B형 간염 예방법으로 통하게 됐다. B형 간염 바이러스가 타액으로 감염된다는 잘못된 상식이 퍼지게 된 것이다. 약 40년 전의 일이지만 여전히 사실로 아는 사람이 많다.
실제 2016년, 대한간학회가 일반인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 36%는 B형 간염 주요 감염 통로로 ‘찌개나 국을 따로 덜지 않고 한 냄비에 먹는 습관’을 꼽았다. 28%는 ‘술잔 돌리기 문화’, 25%는 ‘재채기, 기침 등을 통한 타액’을 꼽았다. 학회는 이를 이유로 B형 간염의 전염 경로에 대해서 부정확한 인식이 지배적이라고 평했다.
◇새로운 B형 간염 환자 적지만, 40~60대는 유병률 여전…
새로운 B형 간염 환자들은 거의 없다. B형 간염의 만성화 척도는 바이러스 표면의 단백질, 표면항원이 있는지로 진단한다. 1982년도 한국인의 표면항원 양성률이 8.6%였다면 가장 최근 조사인 2019년에는 2.0%로 줄었다. 10대의 표면항원 양성률은 0.0%까지 낮아지기도 했다. 1995년, B형 간염 예방 백신이 국가예방접종사업으로 선정된 결과다. 산모가 보유자여도 면역글로불린주사나 항바이러스제로 감염 고리를 차단할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환자 수는 많다. 40대, 50대, 60대의 표면항원 양성률은 각각 3.4%, 3.9%, 3.5%다. 약 126만명이 만성 B형 간염 환자수로 추정된다. 학계에서는 백신 접종을 권고하기 시작한 1992년 이전 출생자들은 여전히 유병률이 높다고 본다. B형 간염은 완치가 안 되므로 이러한 추이는 30여 년 이상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민경윤 회장은 사후 조치 외에 질환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B형 간염 환자 차별을 막기 위해 여러 제도적 보완이 이뤄졌지만 결국 차별은 잘못알고 있는 사람들에 의해 발생한다”며 “질환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해외 수준에 맞는 급여기준 변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