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의 한 가운데를 지나고 있지만 코로나19는 계속해서 얼굴을 바꾸어 가며 우리 곁을 좀처럼 떠나지 않고 있다. 다행히 코로나19 백신이 성공적으로 개발되었고, 특정 감염병을 미리 예방할 수 있는 예방접종에 대한 관심이 커지기도 했다. 이제 많은 사람들은 자발적으로 예방접종을 찾고 문의하는 시대로 변하고 있다.
바이러스성 간염은 A형, B형, C형 간염 등이 대표적이며, 이 세 가지 바이러스는 국내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간염 바이러스이기도 하다. 현재 A형 간염과 B형 간염에 대한 예방접종은 널리 사용되고 있어 방어력 획득을 위해 적절한 시기에 접종이 권고되고 있다.
성인기에 발병하는 A형 간염은 회복되는데 수 개월이 걸리고 드물게 큰 장애를 남기거나 사망하는 사례들을 보이기도 한다. B형 간염은 외국에 비해 우리 나라에서 높은 유병률을 보이고 있는데 아이가 태어날 때 엄마로부터 직접 바이러스를 전달받는 수직감염으로 출발해 만성화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C형 간염은 만성화되는 비율이 매우 높은데, 과거에 비해 유행하는 빈도가 증가하여 더 관심 받고 있는 간염이다. 이러한 바이러스성 간염들의 위중도가 크기 때문에 질환에 관심을 갖고 진단과 치료에 이르는 과정들은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그렇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감염되지 않도록 하는 예방적 행동이라 할 것이다.
◇B형 간염, 백신 접종으로 예방 가능.. 무반응자 등 한계도 있어
B형 간염 예방접종은 국가예방접종 사업으로 포함되어 생후 0, 1, 6 개월에 3회 접종을 권장하고 있다. 이에 국내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율은 1980년대까지 8~10%로 높은 수준이었지만, 국가예방접종 사업으로 인해 현재는 3%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바이러스성 간염은 A형, B형, C형 간염 등이 대표적이며, 이 세 가지 바이러스는 국내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간염 바이러스이기도 하다. 현재 A형 간염과 B형 간염에 대한 예방접종은 널리 사용되고 있어 방어력 획득을 위해 적절한 시기에 접종이 권고되고 있다.
성인기에 발병하는 A형 간염은 회복되는데 수 개월이 걸리고 드물게 큰 장애를 남기거나 사망하는 사례들을 보이기도 한다. B형 간염은 외국에 비해 우리 나라에서 높은 유병률을 보이고 있는데 아이가 태어날 때 엄마로부터 직접 바이러스를 전달받는 수직감염으로 출발해 만성화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C형 간염은 만성화되는 비율이 매우 높은데, 과거에 비해 유행하는 빈도가 증가하여 더 관심 받고 있는 간염이다. 이러한 바이러스성 간염들의 위중도가 크기 때문에 질환에 관심을 갖고 진단과 치료에 이르는 과정들은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그렇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거나 감염되지 않도록 하는 예방적 행동이라 할 것이다.
◇B형 간염, 백신 접종으로 예방 가능.. 무반응자 등 한계도 있어
B형 간염 예방접종은 국가예방접종 사업으로 포함되어 생후 0, 1, 6 개월에 3회 접종을 권장하고 있다. 이에 국내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율은 1980년대까지 8~10%로 높은 수준이었지만, 국가예방접종 사업으로 인해 현재는 3%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그런데 B형 간염 백신을 3회 모두 접종하고도 B형 간염 항체가 생기지 않는(anti-HBs 항원이 10mIU/mL 미만) 경우를 ‘무반응자’로 일컫는다. 성인에서 B형 간염 예방접종 후 5~15% 정도에서 항체 생성에 실패한다는 보고가 있기 때문에 예방접종을 모두 완료한 후에는 항체 생성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무반응자는 적절한 예방접종을 받았지만 항체가 생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B형 간염의 위험에 평생 노출되고,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될 경우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사람과 동일하게 방어력이 없다. 실제 무반응자에게서 B형 간염에 감염된 사례들이 보고 되고 있다. 국내 만성간염 및 간경변증, 나아가 간세포암종 환자의 70%가 B형 간염과 관련이 있음을 고려하면 무반응자에서도 B형 간염에 대한 지식과 경각심은 중요한 문제일 수밖에 없다.
◇간염 예방을 위한 백신 개발의 방향성
현재에도 간염은 현실적인 질병이며 바이러스성 간염의 퇴치를 위한 노력은 지속되고 있다. 예방접종은 이러한 노력의 가장 선두에 있는 중요한 방안이 될 것이다.
안타깝게도 만성간염의 핵심 원인 바이러스인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증은 예방접종의 무반응자 비율을 무시할 수 없고, 만성 B형 간염의 경우는 완치되는 치료제도 없는 게 현실이다. 새로운 백신을 개발하는데 30년 이상 소요됨을 고려한다면 무반응자에게 효과적인 B형 간염 백신 개량 연구가 중요한 과제임이 분명하다.
다행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백신 개발이 현실화되고 있다. 기존 백신에 점막면역 반응을 추가해 체액성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것이 하나의 방향이 될 수 있고, 면역증강제를 사용해 항체 생성의 효율을 높여 기존 백신에서의 무반응자나 방어효과가 유도되지 않는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하는 백신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코로나19 백신 개발 과정에서 새로운 방식의 예방접종의 세계가 열렸다. 더구나 향후의 백신 개발 과정에서는 암, 치매, 당뇨 등과 같은 질병의 치료 백신을 만들고자 하는 연구도 활발하다. 이미 있는 무기인 B형 간염 백신을 개량하고, C형 간염 백신을 새로운 무기로 개발한다면 바이러스성 간염에 대한 강력한 방어 체계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바이러스성 간염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날이 멀지 않을 것이라 믿는다.
무반응자는 적절한 예방접종을 받았지만 항체가 생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B형 간염의 위험에 평생 노출되고,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될 경우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사람과 동일하게 방어력이 없다. 실제 무반응자에게서 B형 간염에 감염된 사례들이 보고 되고 있다. 국내 만성간염 및 간경변증, 나아가 간세포암종 환자의 70%가 B형 간염과 관련이 있음을 고려하면 무반응자에서도 B형 간염에 대한 지식과 경각심은 중요한 문제일 수밖에 없다.
◇간염 예방을 위한 백신 개발의 방향성
현재에도 간염은 현실적인 질병이며 바이러스성 간염의 퇴치를 위한 노력은 지속되고 있다. 예방접종은 이러한 노력의 가장 선두에 있는 중요한 방안이 될 것이다.
안타깝게도 만성간염의 핵심 원인 바이러스인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증은 예방접종의 무반응자 비율을 무시할 수 없고, 만성 B형 간염의 경우는 완치되는 치료제도 없는 게 현실이다. 새로운 백신을 개발하는데 30년 이상 소요됨을 고려한다면 무반응자에게 효과적인 B형 간염 백신 개량 연구가 중요한 과제임이 분명하다.
다행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백신 개발이 현실화되고 있다. 기존 백신에 점막면역 반응을 추가해 체액성 면역반응을 유발하는 것이 하나의 방향이 될 수 있고, 면역증강제를 사용해 항체 생성의 효율을 높여 기존 백신에서의 무반응자나 방어효과가 유도되지 않는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하는 백신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코로나19 백신 개발 과정에서 새로운 방식의 예방접종의 세계가 열렸다. 더구나 향후의 백신 개발 과정에서는 암, 치매, 당뇨 등과 같은 질병의 치료 백신을 만들고자 하는 연구도 활발하다. 이미 있는 무기인 B형 간염 백신을 개량하고, C형 간염 백신을 새로운 무기로 개발한다면 바이러스성 간염에 대한 강력한 방어 체계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바이러스성 간염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날이 멀지 않을 것이라 믿는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