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인 A씨는 신발을 벗어야 하는 회식자리를 매번 피하기 일쑤였다. 만성적인 무좀이 창피했기 때문이다. 누가 알까 두려워 말도 못하고 민간요법을 써봤지만 소용 없었다. 그는 최근 용기내 피부과를 찾았고 레이저 치료를 통해 완치됐다.
A씨처럼 무좀이 있어도 바로 병원을 찾지 않는 사람이 많다. 최근 대한피부과학회가 국내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는데, 무좀이 생겼을 때 바로 병원에 간 비율이 18.8%에 불과했다. 대부분 병원에 가지 않고 약국에서 약 구매 49.9%,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음 16.7%, 민간요법으로 치료 7.4%, 온라인 및 SNS를 통한 검색 7.3% 순으로 무좀을 조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좀은 발바닥, 발가락 사이 등 족부에 발생하는 백선이다. 백선은 피부사상균이 각질에 감염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한다. 대부분의 피부사상균은 약으로 치료가 잘 되며 부작용이 적은 편이지만, 족부에 발생하는 경우 2차 감염으로 인해 세균이 침범한 부위에 홍반, 열감, 부종, 통증 등의 증상이 동반되는 봉와직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뇨 환자의 경우 심한 감염으로 수술을 받는 경우도 있어 무좀이 발생했을 때 적극적인 치료를 해야 한다.
무좀 치료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항진균제를 도포하며 이차 감염 또는 염증이 있다면 이를 먼저 치료한 후 원인균 치료를 한다. 항진균제로도 낫지 않는 경우 경구용 항진균제를 복용한다. 알레르기, 간염 보균자, 임산부, 수유부 등 약 복용에 대한 부담이 있거나 잦은 재발로 고생하는 경우에는 레이저 치료도 고려한다. 최근에는 비열성 레이저 장비를 통해 낮은 에너지 파장을 조사해 짧은 시간에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해졌다.
대동병원 피부과 김초록 과장은 "무좀 치료를 미루거나 민간요법으로 해결하려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2차적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가족이나 지인 등 면역이 취약한 사람에게 의도치 않게 감염을 일으킬 수 있어 반드시 치료받아야 한다"며 "부작용이 적은 약물뿐 아니라 레이저 치료 등을 통해 완치가 가능하므로 초기에 피부과 전문의를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무좀 예방을 위해서는 무좀균이 잘 살 수 없도록 항상 발을 건조시켜야 한다. 평소에는 발에 땀이 나지 않도록 신경 쓰고 씻은 후에는 물기를 완전히 말려야 한다. 통풍이 잘 되는 신발을 신고 무좀이 있는 사람과는 수건을 공용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A씨처럼 무좀이 있어도 바로 병원을 찾지 않는 사람이 많다. 최근 대한피부과학회가 국내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는데, 무좀이 생겼을 때 바로 병원에 간 비율이 18.8%에 불과했다. 대부분 병원에 가지 않고 약국에서 약 구매 49.9%,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음 16.7%, 민간요법으로 치료 7.4%, 온라인 및 SNS를 통한 검색 7.3% 순으로 무좀을 조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좀은 발바닥, 발가락 사이 등 족부에 발생하는 백선이다. 백선은 피부사상균이 각질에 감염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한다. 대부분의 피부사상균은 약으로 치료가 잘 되며 부작용이 적은 편이지만, 족부에 발생하는 경우 2차 감염으로 인해 세균이 침범한 부위에 홍반, 열감, 부종, 통증 등의 증상이 동반되는 봉와직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뇨 환자의 경우 심한 감염으로 수술을 받는 경우도 있어 무좀이 발생했을 때 적극적인 치료를 해야 한다.
무좀 치료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항진균제를 도포하며 이차 감염 또는 염증이 있다면 이를 먼저 치료한 후 원인균 치료를 한다. 항진균제로도 낫지 않는 경우 경구용 항진균제를 복용한다. 알레르기, 간염 보균자, 임산부, 수유부 등 약 복용에 대한 부담이 있거나 잦은 재발로 고생하는 경우에는 레이저 치료도 고려한다. 최근에는 비열성 레이저 장비를 통해 낮은 에너지 파장을 조사해 짧은 시간에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해졌다.
대동병원 피부과 김초록 과장은 "무좀 치료를 미루거나 민간요법으로 해결하려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2차적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가족이나 지인 등 면역이 취약한 사람에게 의도치 않게 감염을 일으킬 수 있어 반드시 치료받아야 한다"며 "부작용이 적은 약물뿐 아니라 레이저 치료 등을 통해 완치가 가능하므로 초기에 피부과 전문의를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무좀 예방을 위해서는 무좀균이 잘 살 수 없도록 항상 발을 건조시켜야 한다. 평소에는 발에 땀이 나지 않도록 신경 쓰고 씻은 후에는 물기를 완전히 말려야 한다. 통풍이 잘 되는 신발을 신고 무좀이 있는 사람과는 수건을 공용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占쎌꼶利뷸�⑨옙 占쎈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