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고 기온이 30도를 웃도는 여름에도 추위 때문에 고생할 때가 있다. 버스나 지하철 등 대중교통에서 쐬는 강력한 에어컨 바람 때문이다. 에어컨으로 인해 갑작스럽게 느끼는 추위는 '냉방병'을 일으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냉방병은 공기가 순환되지 않는 실내에서 냉방이 지속됐을 때 몸에 이상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주로 실내와 실외의 큰 온도 차이 때문에 발생한다. 실내외 온도 차가 5~8도 이상으로 넘어가면 몸이 변화하는 온도에 적응하지 못하며 체온 조절에 실패한다. 몸의 체온 조절 과정에 문제가 생기면 자체적으로 노폐물과 열기를 배출할 수 없어 혈액순환이 잘 안되고, 자율신경계에 이상이 생긴다. 또한 차가운 바람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면 습도가 떨어지면서 호흡기 점막이 말라 호흡기 기능이 떨어져 세균 감염에 취약해진다.
냉방병이 발생하면 보통 두통, 기침, 오한, 발열, 인후통을 느낀다. 심한 경우 여성은 월경 주기가 불규칙해지거나 생리통이 악화되기도 한다. 드물지만 근육통, 소화불량이 나타나거나 어지럼증이 동반되기도 한다.
다행히 실내 환경을 개선하면 냉방병 증상은 대부분 자연적으로 치유된다. 냉방병 증상이 나타날 때는 에어컨 사용을 중단하고 휴식을 취하는 것이 기본적 치료법이다. 콧물, 코막힘, 소화불량, 몸살 기운 등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병원에 방문해 진료를 받고 약물치료를 병행한다.
냉방병을 예방하려면 실내외 온도 차이가 5도 이상 나지 않게 해야 한다. 실내 온도는 25도 이하로 낮추지 않는다. 냉방을 할 때는 처음에 크게 낮췄던 온도를 점차 올린다. 또한, 주기적으로 환기를 시켜 새로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해야 한다. 차가운 바람이 직접 몸에 닿지 않게 긴 소매의 카디건이나 양말을 착용하는 것도 좋다. 평소에는 정기적으로 가벼운 운동을 한다. 냉방병은 몸의 면역력이 낮을 때 걸리기 쉽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