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경희대·가천대 공동연구팀, 동물실험 모델 연구로 밝혀내

아보카도에는 몸에 좋은 지방이 풍부해 ‘숲속의 버터’라고 불린다. 아보카도에서 추출한 오일(명칭 : DKB-122)이 난청과 이명 증세 개선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연세대 의대 문인석(이비인후과학)·경희대학교 한의과학대학 강동호·가천대학교 약학대학 정광원 교수팀은 동물실험을 통해 아보카도 오일 추출물이 난청과 이명을 호전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국제학술지 Nutrients (IF 4.196)에 보고하였다.
연구팀은 아보카도에서 추출한 오일에 오메가-3 지방산의 한 종류인 ‘리놀레익산’이 다량 포함되어 노화성 난청에 도움이 된다는 선행연구에 착안하여 이번 연구를 착수했다.
연구팀은 이독성 약물(ototoxic drugs) 우리 몸의 특정 수용체와 반응하여 증상개선 등 순기능적 역할을 수행 하나, 동시에 다른 조직에서 약물 부작용을 일으키는 물질인 네오마이신 사용으로 발생한 제브라피쉬 유모세포(hair cells) 손상에 대해 아보카도 오일 추출물로 가공한 DKB-122 약물을 사용했을 시 회복반응이 유의적으로 개선됐다는 동물실험 결과를 얻어냈다.
연구팀은 인위적 실험환경 조성으로 청각 기능을 낮춘 실험용 마우스를 무작위로 분류한 후, 아보카도 오일과 DKB-122 약물을 각각 적용한 실험군, 아무런 치료를 시행치 않은 대조군으로 구분해 연구관찰을 시행했다. 연구결과, DKB-122 약물을 받은 실험군은 청성뇌간 반응 검사에서 8kHz와 16kHz 영역대에 걸쳐 청력 개선 효과를 보였다.
연구팀은 귀 안쪽 유모세포 자멸을 억제하여 난청과 이명 증세를 개선하는 효과를 가져온다고 분석했다. 이독성 약물로 유발된 난청과 노인성 난청의 세포 손상 기전은 유사할 것으로 보고 된다. 난청 예방을 위해선 귀 안쪽 유모세포 손상을 막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문인석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아보카도 오일을 이용한 DKB-122 약물이 청력에 중요한 귀 안쪽 유모세포 생존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며 “아보카도 오일 추출물이 난청 예방이나 치료 효과가 있는 약물군으로 충분한 가능성을 확인한 만큼 앞으로 임상시험을 계획하겠다”고 말했다.
